현장: 송세경 KGAF 회장, 한국형 AI 전략 'K-AX' 제안
카테고리
트렌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
대상자
정책 입안자, 산업 리더, AI 전문가
- 난이도: 중간 (국가 전략 및 산업 전환 방향에 대한 이해 필요)*
핵심 요약
- "AX(인공지능 전환)는 '새마을 운동'과 같은 국민 중심의 실행 전략이 필요하다."
- 6대 전략축(국민포용형, 산업도약형 등)과 24개 정책으로 'AI G3' 도약을 위한 K-AX 모델 구축 제안
- 교육, 제조업, 공공 분야 혁신을 통한 AI 생태계 확산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필요
섹션별 세부 요약
1. AX 전략의 중요성
- AX는 국가 시스템 재정의 수준의 문명 전환 수단으로, 미국·중국·유럽 등이 이미 AI 질서를 선점 중
- 한국의 삼중 위기(저성장, 초고령화, 디지털 격차)로 인한 AX 실행력 약화 우려
- 국민 중심형 K-AX 모델 창출이 '골든 타임' 마지막 기회로 강조
2. 6대 전략축과 24개 정책
- 6대 전략축: 국민포용형(교육 확대), 산업도약형(제조업 혁신), 지역균형형(지역 인재센터), 공공선도형(100대 공공 AX 프로젝트), 기술주권형(국방 AI), 글로벌확장형(국제 협력)
- 24개 정책: AI 국민학교, 중소기업 AX 패키지, 제조 AI 팩토리, 행정 자동화, 고독사 예측 시스템 등
- 100대 과제: 공공·산업·교육 분야에서의 AX 적용 확대
3. 단계별 실행 계획
- 2024년: 국산 반도체 R&D, AI 국민학교 설립, 행정 자동화 프로젝트 추진
- 2025-2027년: 중소기업 AX 패키지, 스마트팜, 글로벌 콘텐츠 제작소 구축
- 2028-2030년: K-AX 브랜드 수출 및 국제 AX 협력 생태계 구축을 통한 'AI G3' 진입 목표
4. 현장적 도전과 해결 방향
- AI 핵심 기술 경쟁력 부족, 글로벌 AI 기업 부재, 전문 인재 부족 등 한계
- 제조 AX를 중심으로 교육·실증·확산 작업을 연계한 생태계 구축 필요
- AI와 로봇의 일상화는 제조업 혁신 가속화로 이어져 AX 강국 도약 가능성
결론
- 국가 차원의 통합형 '국가 AX 플랫폼' 전략 수립, 국민 교육 확대, 제조업 혁신, 공공 분야 자동화 등 24개 정책을 통해 K-AX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.
- 2024년부터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실행 가능한 계획 수립 및 글로벌 AI 협력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