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, 전 세계 세 번째 LLM 개발국으로 주목받는 AI 추론 모델 현황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AI는 지금: 미국·중국 선 추론이 대세인데…전 세계 세 번째 LLM 개발국 한국의 현 주소는?

분야 데이터 과학/AI

대상자 AI 개발자, 연구자, 정책 수립자

핵심 요약

  • LLM 경쟁에서 한국이 뒤처지는 이유: 정부 지원 부족과 기업 협력 미비로 추론형 AI 개발 저조
  • LG AI연구원 '엑사원 딥': 32B 파라미터로 중국 R1(671B) 대비 효율성 인정, 수학 분야 테스트 성공
  • 미국·중국의 선도적 성과: 오픈AI 'o3' (IQ 132), 구글 '제미나이 2.5 플래시', 딥시크 'R1' 등 경쟁 심화
  • 한국의 과제: 상업적 확산 제한, 투자 부족, 정치적 혼란으로 인한 정책 일관성 부족

섹션별 세부 요약

  1. 글로벌 AI 추론 모델 경쟁 현황
  • 미국·중국의 선도적 성과: 오픈AI 'o3'는 멘사 IQ 시험에서 132점 달성, 구글 '제미나이 2.5 플래시'는 연산비/지연 최적화
  • 중국의 강력한 진출: 딥시크 'R1' (671B 파라미터), 알리바바 '큐원3', 바이두 '어니 X1 터보' 등 다양한 추론 모델 출시
  • 샤오미의 진출: '미모' (70억 파라미터)로 오픈AI 'o1-미니' 및 알리바바 '큐원'을 넘어선 성능 주장
  1. 한국의 추론형 AI 개발 현황
  • LG AI연구원 '엑사원 딥': 32B 파라미터로 중국 R1 대비 효율성 입증, 7.8B 경량 모델은 오픈AI 'o1 미니'보다 우수
  • 네이버의 지연: 2021년 '하이퍼클로바X' 출시 후 추론 모델 미공개, 올 상반기 발표 예정이지만 경쟁사 대비 느려짐
  • 기타 기업의 계획: 업스테이지 등 국내 기업들도 추론 모델 출시 준비 중
  1. 기술적 성능 비교 및 시장 영향
  • IQ 테스트 결과: 구글 '제미나이 2.5 프로'는 LM아레나에서 오픈AI 모델을 1위로 제치고, 'o3'는 멘사 IQ 시험 132점 달성
  • 비용 대비 성능: 바이두 모델은 오픈AI 'o1' 대비 동급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비용 절감
  • 오픈소스 모델의 영향: 추론 역량 중심의 신형 오픈소스 모델이 글로벌 AI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 예상
  1. 한국의 경쟁력 저하 원인 분석
  • 정부 지원 부족: 정치적 혼란(비상계엄 선포, 탄핵 등)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
  • 투자 환경 열악: 기업의 자체 기술 개발 노력 감소, 상업적 확산 제한
  • 협업 부재: LG 내부 사용 제한, 모델 공개 시 계열사 논의 필요 등 제도적 장벽

결론

  • 한국의 전략적 과제: 정부·기업 간 협력 강화, 투자 확대, 상업적 확산 촉진 필요
  • 글로벌 경쟁의 핵심: 추론 역량 기반의 오픈소스 모델이 AI 생태계 형성에 결정적 영향
  • 단기적 대응: LG의 '엑사원 디프'를 중심으로 기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 재정비 필요
  • 장기적 목표: AGI 개발을 위한 기술적 기반 마련을 위한 지속적 연구 투자 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