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인이 tailwindcss를 쓰면 안되는 이유?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*프론트엔드 개발자, 디자이너 협업 환경에서 CSS 프레임워크 선택 고민 중인 팀**
- 난이도: 중급 이상 (CSS-in-JS 및 유틸리티 CSS 개념 이해 필요)*
핵심 요약
px
단위 기반 디자인 시스템이 한국 웹 개발 환경에 더 적합하다- CSS-in-JS(예: Styled Components)가 동적 스타일링과 디자이너 협업에 유리
- TailwindCSS의
rem
기반 텍스트 크기 조정 방식이 한국 디자인 가이드와 충돌 가능성 높음
섹션별 세부 요약
###1. TailwindCSS의 rem
단위와 한국 디자인 시스템의 충돌
- TailwindCSS는 기본 폰트 크기 14px(1rem) 기준으로
rem
단위 사용 - 한국 디자인 시스템은 디자이너가
px
단위로 정의한 가이드를 강제 적용 rem
기반 텍스트 크기 조정은 브라우저 폰트 설정 변경 시 레이아웃 불일치 가능성
###2. CSS-in-JS의 유연성과 디자이너 협업
- Styled Components는
px
단위로 디자인 요소 직접 정의 가능 - 미디어 쿼리 직접 작성 필요, TailwindCSS의
sm:
,md:
접두어 기반 반응형 처리보다 유연성 부족 - 디자이너가 직접 스타일 컴포넌트에
@apply
적용 가능, 협업 시 투명도 높음
###3. TailwindCSS의 반응형 기능과 유틸리티 클래스 강점
sm:text-lg
,md:text-xl
등 접두어 기반 반응형 스타일링이 간단한 구현 가능flex
,grid
등 레이아웃 클래스가 복잡한 CSS 작성 없이 빠른 개발 가능
###4. CSS 변수 활용과 동적 스타일링
- TailwindCSS는
transform
속성에 CSS 변수를 통해scale
,rotate
등 복합 효과 적용 가능 - React 환경에서
style
속성 또는 부모 컴포넌트 변수 전달로 동적 스타일링 가능
결론
- TailwindCSS는 반응형 디자인과 빠른 UI 구현에 유리하지만, 디자이너가
px
단위로 정의한 한국 웹 시스템과 호환 불가능 - CSS-in-JS(예: Styled Components)는 디자이너 협업과 동적 스타일링에 적합
- 프로젝트 성격과 팀의 디자인 협업 방식에 따라 TailwindCSS 또는 CSS-in-JS 선택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