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IT 생태계, 글로벌 연결로 성장해야 한다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인터뷰] "한국 IT 생태계, 국산화 집착 벗어나야…글로벌 연결이 필수"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트렌드

대상자 대상자_정보 출력

  • IT 개발자, 정책 입안자, 벤처 투자자
  • 중간 난이도 - 기술적 내용보다는 전략적 분석과 산업 동향에 초점

핵심 요약

  • "국산화 중심 전략보다 글로벌 연결과 확장이 IT 생태계 성장의 핵심"
  • AI 스타트업은 응용 분야에 집중, 핵심 기술(예: LLM) 개발 부족
  • 클라우드 산업의 데이터 해외 반출 제한으로 경쟁력 저하

섹션별 세부 요약

###1. 딥테크 생태계의 현황 및 문제점

  • 한국 딥테크 스타트업 432개 분석 결과, AI, 바이오테크, 양자 등 10대 분야에 집중
  •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로 인해 글로벌 경기 변동에 취약
  • 원자력, 양자 분야 스타트업 부재 → 기초 과학은 있으나 민간 연결 구조 미비

###2. AI 스타트업의 기술 개발 방향성

  • LLM(대규모 언어 모델) 등 핵심 기술은 글로벌 빅테크와 연구기관 주도 → 진입 장벽 높음
  • 응용 기술(예: 챗봇)은 수익화 가능성 높아, 스타트업 주로 개발
  • "LLM은 금방 범용화돼 수익 모델로 활용 어려움"

###3. 클라우드 산업의 규제 문제

  • 데이터 해외 반출 제한으로 글로벌 인프라 활용 어려움 → 국내 데이터센터 운영 의무
  • 에너지 비용, 냉각 비용 증가로 클라우드 비용 구조 개선 어려움
  • EU는 공통 규제 체계로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연결 → 효율적 클라우드 운영 가능

###4. 정부의 국산화 집착과 글로벌 연결의 중요성

  • "국적보다 연결·확장이 기술 생태계 성장의 핵심"
  • 유럽 기업은 글로벌 투자자, 해외 인력과 협업 → 해외 자본 유입 용이
  • 핀란드 슈퍼셀 사례: 중국 자본 인수 후도 글로벌 팀과 자금으로 성장

결론

  •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 연결하고, 핵심 기술 개발에 투자하며, 데이터 규제 개선이 한국 IT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필수 조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