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SA, '인공지능·소프트웨어산업협회'로 새 출범…AI시대 산업 방향성 제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트렌드
대상자
- 소프트웨어/인공지능 산업 종사자, 정책 입안자, 기술 리더
- 중간~고급 수준의 이해가 필요한 산업 동향 분석
핵심 요약
- "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" → "한국인공지능·소프트웨어산업협회" 명칭 변경
- AI 융합 신산업(반도체, 클라우드, 데이터) 포괄 플랫폼으로 기능 확장
- AI 전환 지원, 인재 양성,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 4대 핵심 추진 과제 발표
섹션별 세부 요약
1. KOSA의 명칭 변경 및 목적
- 소프트웨어진흥법상 법정단체 지위 유지하면서 AI 산업 포괄 플랫폼으로 기능 확장
- AI 융합 신산업(반도체, 클라우드, 데이터) 중심으로 산업 방향성 제시
- 정부-민간 협력 채널 역할 수행, 국내 AI 생태계 고도화 목표
2. 주요 추진 과제
- AI 정책 협력 및 제도 개선
- 전산업 AI 전환 지원(예: AI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)
-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(국제 표준, 국제 협의체 참여)
- 사무국 조직 개편: AI 인재개발본부, AI·SW교육센터 신설
3. KOSA의 역사와 기존 역할
- 1988년 설립, 37년간 SW 산업 발전 주도
- 2023년 '초거대AI추진협의회' 출범,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민간 측 카운터파트 역할 수행
- 인공지능기본법 제정 논의에 업계 목소리 반영
4. 산업 변화 배경 및 기대
- 전 산업 AI 전환(AX) 가속화 요구 대응
- 하청 중심 구조 → 고부가가치 AI 플랫폼, SaaS 등 전환 가능성
- 민간 단체 재정비 필요성 제기, AI 내재화 촉진 기대
결론
- AI 융합 산업 확대에 대응한 KOSA의 명칭 변경과 4대 추진 과제는 산업 정책과 기술 발전의 핵심 방향성을 제시
- AI 전문인력 양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이 실무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 강화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