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SA, 중동 진출 협의회 출범: AI·SW 기업 해외 공략 시동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KOSA, 중동 진출 협의회 출범…AI·SW 기업 해외 공략 시동

카테고리

기획

서브카테고리

비즈니스 전략

대상자

국내 소프트웨어 및 AI 기업의 해외 진출을 계획하거나 준비하는 기업 담당자 및 관계자

난이도: 중간(해외 진출 전략 수립에 대한 실질적 인사이트 제공)

핵심 요약

  • KOSA는 중동 진출 협의회를 출범, 2025년 해외 시장 확대 전략 수립
  • GCC 국가의 디지털 투자 전략과 현지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실질적 인사이트 공유
  • 21개 기업 참여로 중동 진출의 구체적 실행 방안 및 장벽 해소 방안 논의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중동 진출 협의회 출범 및 목적

  • KOSA는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국가별 협의회 운영 계획의 일환으로 중동 진출 협의회를 출범
  • 중동을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일본 및 미국 협의회도 차례로 출범 예정
  • 중동 시장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현지 진출 기업 사례 공유를 통해 국내 기업에 실질적 인사이트 제공

2. 간담회 주요 내용 및 논의 주제

  • 네이버클라우드와 아부다비투자진흥청(ADIO)이 중동 시장의 디지털 정책 방향 및 현지 진출 사례 공유
  • GCC 국가의 적극적인 디지털 투자 전략과 현지 진출 기업의 경험을 중심으로 실질적 진출 전략 제시
  • KOSA는 중동 시장의 경제 전망, 국내 SW 기업의 진출 현황, 기존 진출 기업의 애로사항 분석 및 전략 수정 방안 논의

3. 참여 기업 및 진출 계획 공유

  • 안랩, 유라클 등 총 21개 기업이 참여해 실제 진출 계획 공유
  • 현지 진입 장벽 해소와 성과 창출 방안 모색
  • 참여 기업으로는 네이버클라우드, 나무기술, 로그프레소, 모빌테크, 스패로우, 스페이스뱅크, 시선에이아이, 아부다비투자진흥청, 아이이에스지, 안랩, 유라클, 이지에이아이, 조이팩토리, 트라이텍, 티맥스소프트, 파인씨앤아이, 팝콘사, 포티투마루, 퓨리오사에이아이, 퓨처메인, 플리토 등

결론

  • KOSA의 중동 진출 협의회는 국내 SW 및 AI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첫 번째 실질적 전략 수립 기회로, GCC 국가의 디지털 투자 전략과 현지 진출 사례를 활용한 구체적 실행 방안 도출이 핵심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