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S Wallet: Custodial, Self-Custodial, MPC Wallets Explained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고객 보관 vs 자가 보관 vs MPC 지갑: KS 지갑의 위치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  •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자, 기업용 솔루션 개발자, DeFi 플랫폼 개발자
  • 난이도: 중간 (기술적 이해 필요, 하지만 KS 지갑의 모듈성으로 복잡성 감소)

핵심 요약

  • KS 지갑Custodial, Self-Custodial, MPC 지갑 모델을 모듈화된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개발자가 UX, 보안, 규제 준수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
  • MPC 지갑다중 당사자 간 암호화 키 분산을 통해 보안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제공
  • KS 지갑Kalp Studio와의 통합을 통해 API 기반 개발스마트 계약 로직과의 깊은 연동 가능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기존 지갑 모델의 한계

  • Custodial 지갑:

- Backend에서 키 관리 및 서명 처리로 사용자 온보딩이 용이

- 규제 준수 및 데이터 유출 위험 증가

  • Self-Custodial 지갑:

- 사용자 주권 제공

- 키 관리 및 거래 서명 과정에서의 사용자 부담 증가

  • MPC 지갑:

- 다중 기기/서버 간 키 분산으로 보안성 강화

- 구현 복잡성 및 성능 저하 문제 발생

2. KS 지갑의 아키텍처 및 기능

  • 모듈화된 시스템:

- Custodial, Self-Custodial, MPC 모델을 동일한 플랫폼에서 유연하게 지원

- Kalp Studio와의 통합을 통해 API 기반 개발스마트 계약 연동 가능

  • Self-Custodial 모델:

- 브라우저 확장, 모바일 앱, Kalp Studio 콘솔을 통해 지갑 생성

- 업계 표준 시드 구문을 사용한 백업 지원

- 프라이빗 키 노출 없이 거래 서명 가능

  • Custodial 모델:

- 서버 측에서 키 생성 및 관리 (SaaS 플랫폼, 규제 준수 시 사용)

- 사용자에게 시드 구문/확인 요청 없이 온보딩 가능

- 복구 흐름 및 중앙 집중형 준수 도구 지원

  • MPC 모델:

- 프라이빗 키 분산 저장 (기기/서비스 간 분할)

- 다중 당사자 협업을 통한 거래 서명

- 단일 실패 지점 제거보안성 향상

- Kalp Studio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잡한 암호화 프로세스 추상화

3. 실무 적용 및 미래 전략

  • 개발자 혜택:

- 암호화폐 원주민 및 일반 사용자 대상의 온보딩 흐름 통합

- 기업용 시나리오에서의 규제 준수 및 보안 요구사항 충족

- MPC, 멀티시그, 2FA 등 보안 기능 추가 시 개발 부담 최소화

  • 향후 기능:

- Account AbstractionSmart Contract Wallets 지원

- ZK 기반 프라이버시 기능 통합

- EVM 및 non-EVM 생태계 간 Cross-Chain 연동

결론

  • KS 지갑유연한 아키텍처Custodial, Self-Custodial, MPC 모델을 모두 지원하여 개발자 생산성과 보안성을 균형 있게 제공
  • Kalp Studio와의 통합을 통해 API 기반 개발스마트 계약 연동 가능
  • 향후 기능 (Account Abstraction, ZK, Cross-Chain)을 통해 Web3 생태계 확장성 강화 예정
  • 실무 적용 시:

- 초기 MVP 단계: Custodial 또는 Embedded Non-Custodial 지갑 사용

- 규제 준수 또는 민감 거래 확장 시: MPC 모델로 전환 가능

- KS 지갑의 모듈성을 활용해 다양한 사용자층 및 시장 요구사항 충족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