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ubernetes: 오케스트레이션의 마스터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클라우드 아키텍트
- 난이도: 중급~고급 (초보자도 이해 가능한 예시 포함)
핵심 요약
- Kubernetes 핵심 구성 요소:
Pod
,Node
,Cluster
,Deployment
,Service
,ConfigMap/Secret
(모든 항목 굵은 글씨로 강조) - 주요 장점: 확장성, 자체 복구 기능, 다양한 클라우드/온프레미스 호환성, 비용 효율성
- 실무 예시: Spring Boot 앱을 Minikube로 배포하는 YAML 코드 및 단계별 가이드 제공
섹션별 세부 요약
1. Kubernetes 소개
- 정의: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, 확장, 관리를 자동화하는 오픈소스 플랫폼
- 사례: 2024년 리테일 기업이 10,000개 컨테이너로 1시간당 100만 건의 트랜잭션 처리
- 핵심 개념: 오케스트레이션은 오케스트라 지휘자와 같은 역할 (Pod=악보, Node=악기, Control Plane=지휘자)
2. 주요 구성 요소
- Pod: 최소 배포 단위 (1개 이상의 컨테이너 포함)
- Node: 클러스터 내 물리적/가상 머신
- Cluster: Control Plane(apiserver, scheduler, etcd) + Worker Node(kubelet, kube-proxy)
- Service: Pod에 네트워크 트래픽 노출 (LoadBalancer, ClusterIP 등 유형 존재)
- ConfigMap/Secret: 구성 데이터 및 민감 정보 저장
3. Kubernetes 워크플로우
- Pod 생명주기: 생성 → 실행 → 종료
- ReplicaSet: 원하는 Pod 수 유지
- Self-Healing: 실패한 Pod 자동 재시작
- 네트워킹: CNI 플러그인 (예: Flannel)을 통해 Pod/Service/외부 클라이언트 연결
4. Spring Boot 앱 배포 예제
- Dockerfile:
openjdk:17-jdk-slim
기반 이미지 생성 - YAML 예시:
```yaml
apiVersion: apps/v1
kind: Deployment
metadata:
name: payment-app
spec:
replicas: 3
template:
spec:
containers:
- name: payment-app
image: payment-app:latest
ports:
- containerPort: 8080
```
- 단계: Minikube 설치 → Docker 이미지 빌드 →
kubectl apply
명령으로 배포
5. 도구 비교 (Kubernetes vs Docker Swarm vs Nomad)
- Kubernetes:
- 장점: 대규모 클러스터 확장성, 풍부한 에코시스템 (Helm, Istio)
- 사용 사례: 마이크로서비스,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
- Docker Swarm:
- 장점: 간단한 설정, 소규모 앱에 적합
- Nomad: 혼합 워크로드 처리
결론
- 핵심 팁: Kubernetes는 복잡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필수적인 도구로, Deployments 및 Services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
- 실무 권장사항: YAML 파일을 통해 자동화된 배포/확장 구현, Helm Chart 사용으로 구성 관리 효율화
- 결론 요약: Kubernetes는 현대 애플리케이션의 자원 최적화, 확장성, 자동 복구를 실현하는 핵심 플랫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