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G AI연구원, '마곡 집결'로 재정비…AI R&D 시너지 '승부수'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
대상자
- AI 연구자, R&D 관리자, 기술 트렌드 분석가
- 난이도: 중간 - 기술적 성과와 조직 전략에 대한 이해가 필요
핵심 요약
- LG AI연구원은 서울 마곡 디앤오 사옥으로 이전하여 연구진 통합 및 협업 공간 확대
-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 모델
엑사원 3.5
및 추론형 AI엑사원 딥
기술 고도화 성과 - 4년간 1만5천 명 이상의 AI 리터러시 교육 실시 및 234건의 글로벌 학회 논문 발표
섹션별 세부 요약
- 이전 및 시설 개선
- 마곡 디앤오 사옥으로 본사 이전 - 3~7층 5개 층 규모의 통합 사무 공간 확보
- 50개 회의실 및 협업 친화적 공간 설계 - 창의적 아이디어 발현 유도
- AI 기술 개발 및 성과
- 2020년 출범 이후
엑사원
시리즈 개발 - 초거대 AI 모델 기술 고도화 - 2023년 3월
엑사원 딥
출시 - 국내 최초 추론형 AI 모델
- 실제 적용 사례
- LG전자 그램 노트북에
엑사원
기술 탑재 - AI 기능 내재화 - LG유플러스 통화 에이전트
익시오
및 기업용 AI챗엑사원
활용 - 4만 명 이상 사용
-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
- AI 리터러시 교육 및 석/박사 과정 운영 - 4년간 1만5천 명 이상 참여
- 국제적 기술 인증 및 특허
- AAAI, ACL, CVPR 등 최상위 학회에 234건 논문 발표
- 국내외 특허 출원 228건 달성
결론
- LG AI연구원은 마곡 이전을 통해 협업 강화와 AI 기술 경쟁력 확보에 집중
엑사원
시리즈 활용으로 계열사 제품 AI 내재화 성공- 실무 적용을 위한 교육 체계 및 글로벌 학회 참여가 기술 리더십 확보의 핵심 전략
- 향후 온디바이스 AI 성능 고도화 및 AI 인재 양성 지속 강화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