좋아요 버튼의 한계와 대안
카테고리
디자인
서브카테고리
UX 디자인
대상자
- UX 디자이너, 제품 관리자, 소셜 미디어 플랫폼 개발자
- 난이도: 중간 (사용자 행동 분석 및 UI/UX 설계 원칙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"Like" 버튼은 감정 반응을 기반으로 한 가치 지표로, 현재의 사회적/정치적 콘텐츠는 부적절한 평가를 유도
- 감정 반응 아이콘(예: 분노, 놀라움)은 혼란을 유발하며, 명확한 커뮤니티 가치 평가를 어렵게 만듦
- 대안으로 "Upvote" 버튼 제안: 체크마크(✅) 아이콘 사용, 커뮤니티 가치 중심의 중립적 평가 도입
섹션별 세부 요약
1. "Like" 버튼의 기원과 목적
- 기능: 게시물/댓글의 가치를 순위화하여 유용한 콘텐츠를 상위에 배치
- 초기 목적: 감정적 긍정성 기반의 콘텐츠 평가 (예: "나와 내 강아지", "자녀 졸업식" 등)
- 문제점: 현재의 사회적/정치적 콘텐츠는 감정적 긍정성과 무관하게 중요한 가치를 가질 수 있음
2. 감정 반응 아이콘의 한계
- 혼란 유발: 분노, 놀라움, 공감 등 3~10개의 감정 아이콘으로 평가 기준 모호
- 평가 공식 부재: 2개의 분노 반응이 1개의 행복 반응과 동등한 가치인가?
- 의미 해석 불확실: 5개의 웃음 반응은 조롱(다운보트)인지, 유머(업보트)인지 구분 불가
3. "Like" 버튼 대체 제안
- "Upvote" 개념: 커뮤니티 가치 중심의 중립적 평가 (예: 아이디어 동의, 문제 인식 확산)
- 아이콘 선택:
- 🤝 핸드셰이크: 복잡함 (16×16px에서 흐릿해짐)
- ⬆️ 위쪽 화살표: 네비게이션 요소로 오해 가능성
- ✅ 체크마크: 직관적, 투표 의미 명확
4. 실무 적용 사례
- latis.cc: "Like" 버튼을 "Upvote"으로 변경, 체크마크(✅) 아이콘 사용
- 효과: 감정적 평가 대신 커뮤니티 가치 기반의 명확한 순위화 가능
결론
- "Like" 버튼은 감정 반응 기반의 한계를 넘어, 커뮤니티 가치 평가를 위한 "Upvote"으로 전환해야 함
- 체크마크(✅) 아이콘은 사용자 인식을 높이고, 명확한 평가 기준을 제공하는 최적의 선택
-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감정 반응 아이콘 대신 "Upvote" 시스템 도입을 고려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