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개발자 관점에서의 C 언어 소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개발 툴
대상자
C 언어 및 Linux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초보 개발자,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관심 있는 프로그래머
핵심 요약
- Linux와 C는 시스템 콜 API를 공유하는 관계이며, 서로 이해하면 서로의 핵심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.
#include
디렉티브는 헤더 파일을 포함시켜 컴파일 단위에 함수 시그니처를 추가하며, 모듈 시스템보다 더 낮은 수준의 메타프로그래밍을 사용한다.- C 언어의 배열과 문자열은 포인터와 오프셋을 통해 처리되며, NULL 종료 문자가 없는 경우 보안 취약점 발생 가능하다.
섹션별 세부 요약
1. 최소한의 C 프로그램 작성
main.c
파일에서argc
와argv
를 사용해 명령줄 인자를 처리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작성.gcc -E
명령어로 사전 처리기를 실행해#include
지시문이 포함된 헤더 파일 내용을 확인.stdio.h
와 같은 시스템 헤더 파일은/usr/include/
디렉토리에 위치하며, 사용자 정의 헤더는"main.h"
형식으로 포함.
2. `#include` 디렉티브와 헤더 파일
#include
는 컴파일 단위에 함수 시그니처를 복사해 라이브러리 호출 가능하게 함.- 헤더 파일에
#ifdef
와#endif
로 구성된 인클루드 가드를 사용해 중복 포함을 방지. - 현대 언어는 모듈 시스템을 사용해 이러한 헤커를 피할 수 있음.
3. `main` 함수와 반환 값
main
함수는 프로그램 시작점이며,int
타입의 반환 값으로 성공/실패 상태를 나타냄.- 0: 성공, 1-255: 에러 코드, -1: 시스템 콜 실패 시 사용.
- 프로그램 종료 상태는 0-255 범위 내에서만 유효.
4. C 언어의 데이터 타입
- 포인터는 시스템 아키텍처에 맞는 크기의 무부호 정수로, 주소를 저장.
- 배열은 포인터와 오프셋을 사용해 접근 (예:
*(argv+1)
과argv[1]
은 동일). - 문자열은 NULL 종료 바이트(
\0
)로 끝나며, 잘못된 처리 시 메모리 누수나 보안 취약점 발생.
5. `char**`와 명령줄 인자
char**
는 NULL 종료 문자열 배열로,argc
변수에 배열 길이가 전달됨.argv[0]
은 실행 파일 경로,argv[1]
이후로 명령줄 인자 저장.
결론
#include
지시문과 인클루드 가드 사용을 통해 중복 포함을 방지하고, 문자열 처리 시 NULL 종료 바이트 확인이 필수적.- C 언어의 포인터와 배열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Linux 시스템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확실히 할 수 있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