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LM Agent Context Management: Strategies for Efficient Memor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LLM 에이전트 및 컨텍스트: 던전 탐색의 전사의 가이드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

대상자

AI/LLM 에이전트 개발자, 소프트웨어 엔지니어, 데이터 분석가

- 난이도: 중급~고급(컨텍스트 관리 및 아키텍처 설계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LLM 에이전트의 기억 관리 핵심: shared 딕셔너리 기반의 Cognitive Backpack을 통해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
  • 3가지 핵심 전략:

- Scrying Spell: 필요 시점에만 정보를 동적으로 탐색

- Grand Strategy: 전략적 탐색으로 불필요한 정보 필터링

- Cautious Explorer’s Path: 실시간 환경에 맞춘 유연한 컨텍스트 구성

  • 문제점: 과도한 컨텍스트 제공은 대화 비용 증가, 결정 오류, 정보 과부하를 유발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문제점: 과도한 컨텍스트 제공의 위험

  • 불필요한 정보 과부하: 전체 던전 데이터를 처음부터 제공하면 LLM이 핵심 정보를 못 찾음
  • 비용 및 지연 증가: 100,000 토큰 크기의 컨텍스트는 비용이 10배 이상 증가
  • 허위 정보 생성: 관련 없는 정보가 혼합되면 LLM이 잘못된 결정을 내릴 가능성 증가

2. Scrying Spell 전략: 필요 시점에 정보 탐색

  • 동적 정보 수집: shared 딕셔너리가 초기에는 비어 있고, 필요 시 list_tables() 또는 get_table_schema()와 같은 API 호출을 통해 정보를 점진적으로 추가
  • 예시: AI 데이터 분석가가 customers 테이블의 total_amount 컬럼을 확인하기 위해 get_table_schema() API 호출
  • 결과: shared 딕셔너리에 {'orders': {'order_id': 'INT', 'customer_id': 'INT', ...}}와 같은 구조 저장

3. Grand Strategy: 전략적 탐색 패턴

  • pull 모델 기반: 에이전트가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요청해 shared 딕셔너리에 저장
  • 핵심 원칙: "필요한 정보만 수집" → 불필요한 정보는 무시
  • 구현: shared 딕셔너리 초기 상태는 {}이며, list_tables() 호출 후 {'tables': ['customers', 'orders', 'products']}로 업데이트

4. Cautious Explorer’s Path: 실시간 환경 적응

  • 예시: 던전의 특정 방에서 압력판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 필요한 정보만 탐색
  • 구현: shared 딕셔너리에 "현재 방의 압력판 위치"만 저장하고, 다른 방의 정보는 무시
  • 효과: 에이전트의 판단 속도와 정확도 향상

결론

  • 핵심 팁: shared 딕셔너리에 필요한 정보만 저장하고, pull 모델을 사용해 동적 탐색
  • 예시: AI 데이터 분석가가 get_table_schema() API를 통해 필요한 컬럼만 확인 후 shared 딕셔너리에 추가
  • 결론: 던전 탐색과 마찬가지로, LLM 에이전트는 필요 정보만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