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Hooks 마스터링: useState와 useEffect의 깊은 탐구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초급 및 중급 React 개발자에게 실무적 팁과 실수 예방 방법 제공
핵심 요약
useState
는 함수형 컴포넌트의 로컬 상태 관리에 사용되며, 초기 값 설정 시 예상 데이터 타입과 구조를 명시해야 한다.useEffect
는 컴포넌트 외부와의 상호작용(예: API 호출, 타이머)을 처리하고, 의존성 배열로 실행 조건을 정의한다.- 상태 업데이트 시 불변성 유지와 함수형 업데이트 형태(예:
setCount(prev => prev + 1)
)를 사용해 비동기 업데이트와 배치 처리 문제를 방지해야 한다.
섹션별 세부 요약
1. `useState`의 기본 개념
useState
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핵심 Hook으로, 초기 상태 값과 상태 업데이트 함수를 반환한다.- 예:
const [count, setCount] = useState(0);
- 초기 값 설정 시
undefined
또는null
대신 예상 구조(예:{ name: '', bio: ''}
)를 사용해 렌더링 시 오류를 방지해야 한다.
2. `useState`의 일반적인 실수
- 상태 직접 수정(
user.age = user.age + 1
)은 React의 재렌더링 메커니즘을 우회해 UI 업데이트가 발생하지 않는다. - 불변성 유지를 위해
...user
와 같은 스프레드 연산자 또는map
,filter
등 새로운 객체/배열 생성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.
3. `useState`의 비동기 업데이트 문제
setCount(count + 1)
과 같은 기존 상태에 의존하는 업데이트는 React의 배치 처리로 인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.- 함수형 업데이트(예:
setCount(prev => prev + 1)
)를 사용해 최신 상태를 보장해야 한다.
4. `useEffect`의 역할과 사용법
useEffect
는 컴포넌트 외부와의 상호작용(예: API 호출, DOM 조작)을 처리하고, 의존성 배열로 실행 조건을 정의한다.- 예:
useEffect(() => { ... }, [data])
- 의존성 배열을 생략하면 매번 렌더링 시 실행되며, 의존성 배열에 상태 변수 포함 시 해당 상태가 변경될 때만 실행된다.
5. 복잡한 상태 관리 전략
- 관련된 상태를 단일 객체로 그룹화(예:
const [formData, setFormData] = useState({ name: '', email: ''})
)해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. - 복잡한 상태 로직은
useReducer
Hook을 사용해 상태 기계나 복잡한 전환 로직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다.
결론
useState
와useEffect
를 사용할 때는 불변성 유지, 함수형 업데이트, 의존성 배열 정의 등의 실무 팁을 적용해야 하며, 복잡한 상태 로직은useReducer
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