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ven과 Gradle의 주요 차이점 비교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Maven VS Gradle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  • Java/Kotlin 개발자, 프로젝트 빌드 도구 선택 고민 중인 중급~고급 개발자*
  • 난이도: 중급 이상 (빌드 도구 비교 및 선택 기준 이해 필요)*

핵심 요약

  • Maven과 Gradle의 주요 차이점: Maven은 XML 기반의 정형화된 빌드 스크립트를 사용하고, Gradle은 Groovy/Kotlin DSL을 활용해 유연한 빌드 로직을 지원
  • 성능 차이: Gradle은 증분 빌드, 빌드 캐시, 병렬 처리를 통해 Maven보다 빠른 빌드 속도 제공
  • 의존성 관리: Gradle은 동적 버전 관리최적화된 캐싱을 통해 Maven의 제한적인 의존성 관리 기능을 개선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빌드 자동화 도구 개요

  • 정의: JVM 기반 언어(Java, Kotlin, Scala)의 프로젝트 빌드 자동화 도구
  • 목적: 컴파일, 테스트, 패키징, 배포 등의 반복 작업 자동화 및 CI/CD 연동
  • 핵심 기능: 일관된 빌드 결과 제공, 휴먼 에러 방지, 의존성 자동 관리

2. Maven vs Gradle 차이점

  • 빌드 스크립트: Maven은 XML 기반(pom.xml), Gradle은 Groovy/Kotlin DSL 기반
  • 성능: Gradle은 증분 빌드 및 캐시 지원으로 Maven보다 빠른 빌드 속도 제공
  • 확장성: Gradle은 플러그인 및 커스텀 태스크 지원으로 더 유연한 확장성 제공
  • Android 지원: Gradle은 Android 공식 빌드 도구, Maven은 공식 지원 없음

3. Dependency Configuration 설정

  • implementation: 컴파일 및 런타임 시 사용, 현재 모듈 내 의존성
  • api: 모듈 간 의존성 전파가 필요한 경우 사용 (예: a → b → c에서 bc에 접근 가능)
  • compileOnly: 컴파일 시점만 필요한 의존성 (예: Lombok)
  • annotationProcessor: 컴파일 시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실행 (예: MapStruct, Lombok)
  • testImplementation: 테스트 코드에서 사용하는 일반 의존성

4. Maven vs Gradle 사용 시점

  • Maven 적합한 경우:

- 대규모 기업 환경의 표준화된 빌드 프로세스 필요

- Spring Boot 프로젝트의 간단한 의존성 관리

- 팀 내 Maven 경험 풍부하고 안정성 중시

  • Gradle 적합한 경우:

- 빌드 속도와 복잡한 빌드 로직 필요

- Android 개발 또는 멀티 플랫폼 프로젝트

- 최신 기술 스택 및 유연한 빌드 스크립트 요구

결론

  • Gradle은 성능과 유연성이 우선시되는 현대 개발 환경에서 권장, Maven은 안정성과 표준화가 중요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적합
  • 의존성 관리에서 implementation, api, compileOnly 등의 설정을 통해 빌드 성능 최적화
  • DSL 기반의 Gradle 스크립트는 복잡한 빌드 로직 구현 시 효과적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