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CP 보안 취약점과 해결 방안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프라/DevOps/보안
대상자
AI/ML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자
(난이도: 중급 - 보안 패턴 적용, 인프라 리소스 제한, 인증 프로토콜 구현 등 실무적 기술 요구)
핵심 요약
- OWASP LLM Top 10에서 프롬프트 인젝션(Prompt Injection)이 최대 위협으로 지정됨
- 인증 키 노출 방지를 위해 제한된 권한 계정(readonly_ai) 사용 필수
- 리소스 소모 제한을 위한 비용 기반 제한(MAX_COST_PER_HOUR=10.00) 적용 필요
- 정규표현식 기반 감지(예:
/ignore.*instructions/i
)과 NIST AI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 준수
섹션별 세부 요약
1. MCP 보안 취약점 분석
- Line Jumping 공격: 도구 설명을 통해 프롬프트 삽입 가능
- 대화 기록 유출: 서버가 암묵적으로 대화 기록을 저장
- ANSI 코드 공격: 탈출 시퀀스를 통해 터미널에 악의적 지시 삽입
- 인증 정보 노출: API 키가 명시적으로 저장 및 공개 권한 부여
2. OWASP와 NIST의 보안 지침
- OWASP 2025 LLM Top 10: 프롬프트 인젝션(LLM01)이 1위 위협
- NIST AI Risk Management Framework: 정의 중심 방어(Defense-in-Depth) 전략 강조
- 세마틱 분석(Semantic Analysis)을 통한 입력 검증 필요
3. 실무적 보안 대응 전략
- 제한된 계정 사용:
```javascript
const DATABASE_URL = "postgresql://readonly_ai:limited@replica:5432/public_data"
```
- 리소스 제한 설정:
```yaml
services:
mcp-tool:
deploy:
resources:
limits:
cpus: "0.5"
memory: 512M
```
- 정규표현식 기반 감지 함수:
```javascript
function catchInjectionAttempts(request: string): [boolean, string | null] {
const suspiciousShit = [/ignore.instructions/i, /execute.as.*admin/i];
for (const pattern of suspiciousShit) {
if (pattern.test(request.toLowerCase())) {
return [true, Injection attempt: ${pattern.source}
];
}
}
return [false, null];
}
```
4. 인증 프로토콜 강화
- OAuth2 Resource Server 구현 강제:
```javascript
class MCPServer {
private authConfig: OAuth2ResourceServer = {
resourceServer: "requiredScopes": ["mcp:tools:read", "mcp:tools:execute"],
tokenValidation: "RFC8707" // Resource Indicators 적용
}
}
```
결론
- 프롬프트 인젝션 방지를 위해 OWASP LLM Top 10과 NIST 프레임워크를 준수하고, 제한된 계정 사용, 비용 기반 리소스 제한, 정규표현식 기반 감지(예:
/ignore.
instructions/i)를 반드시 적용해야 함. 인증 키 노출 방지를 위해 OAuth2 Resource Server 패턴을 도입하고, 실시간 모니터링**을 통해 비정상적인 리소스 소모(예:if (current_hour_cost > average_daily_cost * 0.3)
)를 감지해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