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MCP 서버 마스터링: 모드 마인크래프트 호스팅 완전 가이드
분야
대상자
- 모드 개발자 및 서버 운영자
- 중급~고급 개발자 (JVM 최적화, 네트워크 설정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*MCP 서버는 Minecraft 커스터마이징의 기반이 되는 기술적 틀**
Full Code Access
: Minecraft 커널 코드 분석 및 수정 가능 (JDK 8 이상 필요)
Mod Integration
: Forge/Fabric 플랫폼 호환 (모드 의존성 관리 필수)
Custom Gameplay
: 기계 시스템, 마법 차원 등 고유 기능 구현 가능
JVM Arguments Optimization
: 메모리 최적화를 위한 -Xms
/-Xmx
설정 필수
섹션별 세부 요약
- 필수 사전 조건
- Java Development Kit (JDK): 1.8 이상 버전 요구
- MCP 최신 릴리스: 1.12.2 버전 기준 (버전 호환성 검증 필수)
- Minecraft 서버 파일:
decompile.sh
스크립트 실행 전 준비
- 설치 프로세스
./decompile.sh --version 1.12.2
명령어로 커널 분해
--version
파라미터로 특정 버전 지정 가능
- 분해 후
server.properties
파일 수정 필수
- 모드 설치 및 구성
/mods
폴더에 .jar
파일 배치 (모드 종류: 엔지니어링, 모험, 기술 등)
- 예시:
- Create: 고급 기계 시스템 구현
- Twilight Forest: 마법 차원 추가
- Applied Energistics 2: 디지털 아이템 저장 시스템
- Mod Dependency 관리: Forge 레지스트리로 의존성 체크
- JVM 인자 최적화
- 메모리 할당:
-Xms4G -Xmx16G
(서버 규모에 따라 조정)
- 가비지 컬렉션:
-XX:+UseG1GC
설정 권장
- 네트워크 튜닝
server.properties
파일에서 max-tick-time=60
설정
- TCP_NODELAY 활성화로 지연 최소화:
net.ipv4.tcp_nodelay=1
- 패킷 손실 방지용
net.ipv4.tcp_window_scaling=1
설정
- 시도 및 해결 방법
- ClassNotFound 오류: 모드 버전 불일치 확인 (Forge 레지스트리 활용)
- 메모리 누수:
VisualVM
으로 실시간 모니터링
- 서버 레이턴시:
max-tick-time
조정 및 네트워크 설정 최적화
결론
- *MCP 서버는 커스터마이징의 최고 기술 플랫폼**
- 핵심 팁: 메모리 관리와 네트워크 튜닝으로 안정성 확보
- 실무 권장사항:
server.properties
파일 정기적으로 점검
- 모드 의존성 관리 도구 활용 (Forge 레지스트리)
- JVM 인자 조정 시 서버 규모에 맞는 메모리 할당
- 최종 목표: 개인화된 게임 경험 구현을 위한 기술적 기반 마련
mcp
minecraft
mods
forge
fabric
server
jv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