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CP 서버 요약: 패턴, 라이브러리 및 확장성 컨텍스트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개발자 및 시스템 아키텍트
- LLM 기반 에이전트 시스템 설계/구현에 관심 있는 고급 개발자
- 모듈성과 확장성을 요구하는 분산 시스템 개발자
핵심 요약
- Model Context Protocol (MCP): LLM 시스템의 "컨텍스트 위기"를 해결하기 위한 중심화된 컨텍스트 관리 프로토콜
- 프론트엔드 → MCP → 에이전트 아키텍처: 에이전트가 상태 없는 함수(stateless function)로 작동하며, 공유 메모리를 통해 협업
- 확장성 패턴: 에이전트 위임(Agent Delegation), 역할 체인(Chain of Roles), 런타임 모듈성(Runtime Modularity) 등
섹션별 세부 요약
1. 문제 정의: LLM 시스템의 컨텍스트 위기
- 메모리, 목표, 정체성, 도구 라우팅 관리의 복잡성 증가
- 에이전트 간 직접 메시지 전송 없이 공유 메모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
- 에이전트 자율성과 정렬된 협업(chain-of-thought, swarm behavior)의 필요성
2. MCP 서버 아키텍처 설계
- 프론트엔드/UI는 선택적 구성 요소
- MCP API가 메모리, 목표, 정체성, 도구 라우팅을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
- 에이전트는 상태 없는 함수로, MCP로부터 구조화된 컨텍스트(who, what, why, how)를 수신
3. MCP 확장성 패턴 및 라이브러리
- Redis (빠른 작업 상태/일시적 컨텍스트), PostgreSQL (구조화된 목표/에이전트 메타데이터)
- LiteFS (분산 SQLite), CrewAI, AutoGen, LangGraph (MCP 통합)
- http-error-kit, zod, Postman (에러 처리, 스키마 검증, API 테스트)
4. 다음 단계: MCP 시스템 확장
- 도구 라우터(tool routers) 추가: 에이전트가 사용 가능한 도구를 MCP가 지정
- 피드백 루프(feedback loops) 구현: 모델 출력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다음 라운드 활용
- 다중 테넌트 메모리(multi-tenant memory) 지원: 사용자/제품/에이전트 역할별 목표 트리 분리
- 워크플로우 시각화: 컨텍스트 요청을 이벤트 그래프(event graph)로 변환
결론
- 인터페이스 설계와 구조화된 컨텍스트 전달을 통해 에이전트를 액터(actor)로, MCP를 스테이지 매니저(stage manager)로 설계
- 프로토콜(protocol) 우선, 프롬프트(prompt) 보조: 복잡성(weirdness) 확장, 혼란(chaos) 방지
- 모듈성(modularity)과 확장성(scalability)을 유지하며 시스템을 개발하고 확장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