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CP 명세 – 2025-06-18 버전 변경점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프라/DevOps/보안
대상자
AI/ML 개발자, 클라우드 인프라 개발자,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자
핵심 요약
- MCP(Model Context Protocol)는 AI 시스템 간 컨텍스트 메타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
- JSON-RPC 배치(batching) 지원 제거, 구조화된 도구 출력 및 OAuth 리소스 서버 기능 추가
- 인증 및 보안 고려사항 명확화, Elicitation(질의 요청), Resource Links 등 기능 추가
섹션별 세부 요약
1. MCP 명세 개요
- MCP는 AI 시스템 간 컨텍스트 메타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
- 확장성과 상호운용성 강화를 목표로, 구조화된 메타데이터 및 컨텍스트 관리에 주안점
- 필수 필드의 구체적 정의, 메타데이터 계층화로 시스템별 확장 가능
2. 주요 변경 사항
- JSON-RPC 배치 지원 제거 (PR #416)
- 구조화된 도구 출력 추가 (PR #371)
- MCP 서버 OAuth 리소스 서버로 분류 (PR #338)
- RFC 8707 Resource Indicator 구현 필수 (PR #734)
- Authorization 명세 내 보안 고려사항 명확화 및 보안 가이드 페이지 추가 (PR #548)
3. 추가 기능
- Elicitation 기능 추가 (PR #382)
- Resource Links 지원 추가 (PR #603)
- 프로토콜 버전 협상 시 HTTP 헤더
MCP-Protocol-Version
필수 (PR #548) - Lifecycle Operation의 SHOULD를 MUST로 변경 (PR #710)
4. 필드 및 인터페이스 변경
_meta
필드가 더 많은 인터페이스 타입에 추가 (PR #710)CompletionRequest
에context
필드 추가 (PR #598)title
필드 추가 (표시용),name
은 코드 식별자 용도 (PR #663)
5. 사용자 피드백 및 제안
- MCP 서버는 복잡성 증가로 인해 불필요한 선택지로 간주 (특히 Elixir 환경)
- LLM에 JSON 출력 강제 문화는 비효율적으로 인식
- MCP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모델 연결 기능을 중심으로, 단순 툴 호출 용기가 아님
- 인증 처리, 가시성 확보, tool call 인터페이스 제공이 필요 (nango.dev 예시)
6. 기술적 제안 및 개선 필요성
- 인증 기능은 아직 초기 상태 (SDK 개발 중)
- 개발자 로그 노출 부족으로 인한 디버깅 어려움
- 장시간 작업 처리 시 제한 (PDF 처리, progress API 활용 제한)
결론
MCP는 AI 시스템 간 컨텍스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, 인증 및 보안 강화, 확장성 향상 등 중요한 변경이 이루어짐. 그러나 복잡성 증가와 일부 기능의 제거(예: JSON-RPC 배치)로 인해 구현 시 주의가 필요하며,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효율적인 로깅, 장시간 작업 처리 기능 개선이 요구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