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선택과 실무 경험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대상자: 컴퓨터 공학 학생, 초기 단계 개발자,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관심 있는 실무자
- 난이도: 중간 (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지식이 필요)
핵심 요약
- 마이크로서비스 핵심 원칙: Service Independence, Data Autonomy, Independent Deployment를 통해 확장성과 유연성 달성
- 구현 도구:
hyperlane
,sqlx
,tonic
등 Rust 기반 프레임워크 사용 - 장애 대응: Circuit Breaker 패턴과 Saga Orchestrator를 통해 분산 시스템의 안정성 보장
섹션별 세부 요약
1.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핵심 원칙
- Service Independence: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
- Technology Diversity: 서비스별로 다른 언어/프레임워크 사용 가능
- Fault Isolation: 한 서비스의 실패가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
2. 마이크로서비스 도입 시 복잡성
- Distributed System Complexity: 네트워크 통신, 데이터 일관성, 서비스 발견 문제
- Data Management: 분산 트랜잭션, 최종 일관성 처리 필요
- Testing Complexity: 다중 서비스 간 통합 테스트가 복잡해짐
3. 실무 구현 예시 (Rust 기반)
- 서비스 등록:
ServiceRegistry
구조체를 사용해 서비스 인스턴스를 관리 - 로드 밸런서:
LoadBalancer
가round-robin
방식으로 서비스 인스턴스 선택 - 데이터베이스 연결:
sqlx
를 사용해 PostgreSQL과 연동 (예:UserRepository
,OrderRepository
)
4. 장애 대응 패턴
- Circuit Breaker: 실패 횟수 기반으로 Open, HalfOpen, Closed 상태 전환
- Saga Orchestrator:
SagaStep
을 통해 분산 트랜잭션을 관리 (예: 사용자 생성, 주문 처리, 결제)
결론
- 실무 팁: 마이크로서비스 구현 시 Circuit Breaker와 Saga Pattern을 반드시 적용하고, Service Registry 및 Load Balancer를 통해 서비스 발견/스케일링을 자동화해야 함.
- 코드 예시:
hyperlane
프레임워크를 사용해 서비스 라우팅을 구현하고,sqlx
로 데이터베이스 연동 시RETURNING
절을 활용해 생성된 데이터를 즉시 반환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