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S, '대화형 AI 웹' 구축 지원하는 ‘NL웹’ 출시..."AI 시대의 HTML 표준"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웹 개발자, 웹사이트 운영자
- 난이도: 중간 (기존 웹 기술 기반, 오픈소스 활용 가능)
핵심 요약
- NL웹(NLWeb)은 AI 시대의 HTML 표준으로, 오픈소스로 제공되어 누구나 코드 몇 줄 추가만으로 웹사이트를 대화형 AI 앱으로 전환 가능
- MCP(Model Context Protocol) 지원으로 다양한 LLM 및 벡터DB 연동 가능
- RAG(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) 기반 작동 방식: 벡터화된 데이터 검색 → LLM 응답 생성 → 구조화된 JSON 결과 반환
섹션별 세부 요약
1. 프로젝트 개요 및 목적
- NL웹은 기존 웹사이트에 AI 챗봇 기능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프로젝트
- HTML처럼 AI 시대의 웹 상호작용 표준을 제시, 1대1 맞춤형 계약 대신 오픈 프로토콜로 전환
- 사용자 친화적 + 기계 친화적 인터페이스 제공, 웹 자체를 대화 공간으로 구현
2. 핵심 구성 요소
- 에이전트(Agent): 사용자 질문 분석 → 벡터DB 검색 → LLM을 통한 응답 생성
- 데이터 커넥트: LLM과 벡터DB 연동 모듈 (설정 파일 수정으로 모델/DB 교체 가능)
- 데이터 적재 도구: Schema.org, RSS 피드 등 반정형 데이터 자동 벡터화 및 저장
- UI 프론트엔드: 웹사이트에 통합 가능한 기본 UI, 디자인/기능 커스터마이징 가능
3. 작동 방식 및 기술적 특징
- RAG 기반으로 작동:
- 웹 콘텐츠 미리 벡터화 → 벡터DB 저장
- 자연어 질문 → 벡터 변환 → 관련 콘텐츠 검색 → LLM 프롬프트 생성 → 응답 생성
- 구조화된 JSON 결과 (예: 맛집 추천 시 좌표, 예약 링크 포함)
- MCP(Model Context Protocol) 지원: AI 에이전트도 웹사이트에 질문 가능 (예: AI 앱이 여행사이트에 질문 시 JSON 형식으로 응답)
4. 활용 가능성 및 미래 비전
- MIT 라이선스로 깃허브에 공개, 개발자 자유 수정/확장 가능
- 에이젠틱 웹(Agentic Web) 비전 제시: 사람과 AI 모두가 웹에서 대화 및 탐색 가능
- 파일럿 테스트 중, 향후 다양한 플랫폼 통합 예정
결론
- NL웹은 개방형 표준과 RAG 기술을 활용해 웹사이트에 AI 챗봇 기능을 저비용, 고유연성으로 구현 가능
- MCP 지원으로 AI 간 상호작용 활성화, 구조화된 JSON 응답 제공을 통해 실무적 활용성 극대화
- 깃허브에서 MIT 라이선스로 제공, 기존 웹 기술 기반으로 확장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