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바일 대응 슬라이딩 네비게이션 바 구현 방법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웹 개발자 및 프론트엔드 엔지니어, 특히 반응형 디자인을 구현하는 분야에서 고급 CSS/JavaScript 기술을 응용하고자 하는 개발자
핵심 요약
transform
,opacity
,transition
속성 활용 :display: none
대신transform: translateX(100%)
및opacity: 0
을 사용해 슬라이딩 효과를 생성- CSS 미디어 쿼리 설정 :
@media (max-width: 960px)
에서.navbaritensmobile
요소의position: fixed
,right: -200px
를 기반으로 슬라이딩 트랜지션 정의 - JavaScript 클래스 관리 :
.open
및.closed
클래스를 동적으로 추가/제거하여 메뉴 표시/숨기기 로직 구현
섹션별 세부 요약
- CSS 속성 조정
transform: translateX(100%)
으로 요소를 화면 외부로 이동 후right: 0
로 슬라이딩 효과 적용opacity: 0
→opacity: 1
로 투명도를 조절해 애니메이션 시작/종료 시점 관리transition: transform 0.5s ease-in-out, opacity 0.5s ease-in-out
으로 부드러운 트랜지션 적용
- JavaScript 구현
toggleMobileMenu()
함수에서.open
및.closed
클래스의 추가/제거를 통해 메뉴 상태 전환hamburgerButton
의class
변경(regularshape
→xshape
)으로 버튼 아이콘 스타일 업데이트- HTML 구조 변경 없이 기존 요소를 타겟팅하는 JS 로직 유지
- 일반적인 문제 및 해결 방법
- 슬라이딩 효과 미적용 시 :
transform
,transition
,opacity
속성의 설정 확인 및 CSS 충돌 점 검토 - 애니메이션 속도 조정 :
transition
속성의0.5s
값을0.3s
등으로 수정 - 메뉴 닫기 후 보이는 경우 :
.closed
클래스의 적용 여부 및 CSSvisibility
설정 검토
결론
반응형 슬라이딩 네비게이션 바를 구현할 때는 transform
과 opacity
속성을 활용한 CSS 트랜지션을 적용하고, JavaScript에서 .open
및 .closed
클래스를 정확히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 또한, transition
속성의 시간 값을 조정해 애니메이션 속도를 최적화하고, CSS 규칙 간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 실무 적용 시 중요한 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