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우드 + 파일시스템 MCP: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고속 파일 관리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개발 툴
대상자
- 개발자, 콘텐츠 제작자, 자동화 희망자
- 난이도: 중급 (Node.js 설치 및 터미널 사용 기초 필요)
핵심 요약
- MCP 프로토콜은 Claude와 파일 시스템을 연결하여 파일 정리, 이동, 생성을 자동화 (예:
npx @modelcontextprotocol/server-filesystem
). - 무료 및 오픈소스로 제공되며, Windows, macOS, Linux 지원.
- 구성 요소: Node.js, Claude Desktop, MCP 서버 설정 (파일 경로 지정).
섹션별 세부 요약
1. MCP 프로토콜 개요
- MCP (Model Context Protocol): Claude가 파일 시스템과 통합하여 자동화 작업 가능 (예:
C:\Users\John\Downloads
경로 지정). - 주요 기능: 파일 분류, 디렉토리 생성, 클라우드 서비스 (Google Drive, Amazon S3) 연동.
- 오픈소스: MIT 라이선스로 제공, 사용자 맞춤 설정 가능.
2. 설치 및 설정 단계
- Node.js 설치:
node --version
명령어로 설치 확인. - Claude Desktop 설치: Google 계정 또는 Anthropic 계정으로 로그인.
- MCP 서버 구성:
claude_desktop_config.json
파일에npx @modelcontextprotocol/server-filesystem
명령어 및 파일 경로 등록.
3. 실무 예시
- 파일 정리:
- 프롬프트:
분석하여 Downloads 폴더의 파일을 이미지, 텍스트 등 파일 타입별로 정리
. - 실행 결과:
Images/
,Text/
,Audio/
폴더 생성 및 파일 이동. - 고급 기능:
- 프롬프트:
2025년 5월 AI 뉴스 수집 후 "AI_News_May_2025.txt" 파일 생성
. - 실행 결과:
AI_News_May_2025.txt
파일에 뉴스 링크 및 설명 포함.
4. 팁 및 고려사항
- 드라이 런 사용:
dryRun: true
로 파일 수정 전 미리보기 가능. - 보안: 민감한 폴더에 접근 권한 제한 (예:
Downloads
만 허용). - 문제 해결: MCP 서버 연결 실패 시 경로 확인 및 Node.js 재설치.
결론
- MCP 서버를 활용한 자동화는 파일 정리, 뉴스 수집 등 다양한 작업을 간소화.
- 무료 및 오픈소스 특성으로 사용자 맞춤형 통합 가능.
- 실무 팁:
dryRun
사용, 클라우드 연동 확장, 보안 설정 강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