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(MCP)이란?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
대상자
AI 개발자, 앱 개발자, AI 어시스턴트 플랫폼 제공자
- 난이도: 중급 이상 (프로토콜 구조와 기술적 배경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Model Context Protocol (MCP)는 AI 어시스턴트가 앱(이메일, 캘린더 등)과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USB처럼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제안
- MCP Server는 AI 어시스턴트와 앱 간 연결을 위한 확장 기능으로, 개발자에게 MCP 호환 앱 개발 기회 제공
- 현재 MCP는 베타 테스트 단계로, AI 어시스턴트 플랫폼과 앱 개발사의 공동 채택이 필요
섹션별 세부 요약
1. MCP의 비유: USB와의 유사성
- MCP는 AI 어시스턴트와 앱 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표준 규칙으로, USB와 같은 공통 언어 역할
- USB와 마찬가지로, MCP는 AI 어시스턴트(컴퓨터)와 앱(키보드/마우스) 간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함
- 전 세계 전기 플러그의 차이처럼, 현재 앱은 개별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AI 어시스턴트와 통신
2. MCP의 기능과 구조
- MCP Server는 AI 어시스턴트의 기능 확장을 위한 확장 모듈로, 앱의 데이터에 직접 접근 가능
- MCP는 AI 어시스턴트(예: Claude, ChatGPT)와 앱 간 호환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
- MCP 호환 앱은 MCP Host/Client와 연결되어, 사용자의 요청에 실시간 데이터 활용 가능
3. MCP의 현재 상태와 개발자 고려사항
- MCP는 제한된 베타 테스트 중이며, 개발자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음
- 앱 개발자는 MCP Server 구축 여부를 고려해야 하며, AI 어시스턴트에 대한 의존도와 경쟁력을 평가해야 함
- MCP 채택 시 기존 앱의 독립성 유지와 AI 어시스턴트와의 시너지 균형 필요
결론
- MCP는 AI 어시스턴트와 앱 간 데이터 공유 표준으로, 개발자는 MCP Server 구축을 통해 앱 기능을 AI 플랫폼에 노출시킬 수 있음
- 하지만 MCP 채택 시 앱의 독립적 기능 유지와 AI 플랫폼 의존도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
- MCP는 USB 초기 채택과 유사하게 시간이 걸리는 표준화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