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ongoDB와 Oracle 통합 시 .populate()의 한계와 해결 전략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데이터베이스 통합
대상자
백엔드 개발자,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담당자, Mongoose를 사용하는 MongoDB 사용자
핵심 요약
- MongoDB와 Oracle 통합 시
_id
대신id
필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.populate()
의 기본 동작과 충돌 발생 - Mongoose의
.populate()
한계로 인해 복잡한 쿼리 및 유지보수성 저하 문제 발생 - _id와 id 두 필드를 동시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문제 해결, 단기적 해결책이지만 장기적 구조적 개선 필요
섹션별 세부 요약
1. 문제 상황
- Oracle 기존 시스템의
id
필드를 MongoDB에 그대로 유지해야 함 - Mongoose의
.populate()
는 기본적으로_id
필드를 기준으로 연결 localField: 'userId', foreignField: 'id'
설정으로 해결 시도했으나 유지보수성 저하
2. 기술적 한계
- Mongoose의
.populate()
는_id
기반의 관계만 지원 ref
,localField
,foreignField
설정으로 해결 시도했으나 복잡한 쿼리 발생virtual
속성 사용 시 코드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 감소
3. 해결 전략
- MongoDB 문서에
_id
와id
두 필드를 모두 포함시켜 Mongoose와의 호환성 유지 - 시스템 변경 최소화를 위한 실용적 접근
_id
와id
필드 동기화를 위한 별도 로직 추가
4. 주의사항
- MongoDB의 유연성은 복잡한 관계 처리 시 역효과 발생 가능
.aggregate()
사용 증가 시 MongoDB 적합성 재검토 필요- 데이터 구조 설계 시 이전 시스템과의 호환성 미리 고려
결론
- MongoDB와 Oracle 통합 시
_id
필드 대신id
사용이 필요할 경우, Mongoose의.populate()
한계를 인지하고_id
와id
병행 저장 방식을 선택해야 함 - 장기적 관점에서 데이터 모델 재설계 또는 ORM 도구 변경을 고려할 것
- 데이터베이스 통합 전략 수립 시,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, 유지보수성,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