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놀리스 vs 마이크로서비스: 앱 분할의 실용적 가이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소프트웨어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시스템 아키텍트
- 난이도: 중급 이상 (아키텍처 결정, 배포, 확장성 고려사항 분석 요구)*
핵심 요약
- 모놀리스의 장점:
단일 코드베이스
,간단한 배포
,디버깅 용이
- 마이크로서비스의 장점:
모듈별 확장
,팀 자율성
,다양한 기술 스택 사용
- 분할 결정 기준:
팀 간 협업 장애 + 확장성 요구 > 운영 비용
- 핵심 도구:
Nx
,Turborepo
,Jaeger
,Prometheus
섹션별 세부 요약
1. 모놀리스의 장단점
- 장점:
- 단일 DB
와 한 번의 배포
로 개발/운영 간소화
- npm start
로 전체 시스템 실행 가능
- 단점:
- 작은 버그가 전체 시스템 다운
- 모든 기능을 위한 전체 배포
로 시간 소요
2. 마이크로서비스의 장단점
- 장점:
- GPU-집중 모듈
만 별도 확장 가능
- 팀별 기술 스택
(예: Python, Rust, Node.js) 사용
- 단점:
- 다중 서비스 트레이싱
복잡성 증가
- Kubernetes, Istio
등 운영 인프라 추가 부담
3. 모놀리스 유지 시기
- 조건:
- 팀 크기: 1개 줌 화면 내
- 제품-시장 적합성(product-market fit
) 전 단계
- SRE(Site Reliability Engineering)
없이 운영 가능
4. 분할 시기 및 전략
- 분할 조건:
- 팀 간 배포 대기 시간
(예: 모바일 vs 웹)
- 크리티컬 모듈
(예: 블랙프라이데이 장바구니 서비스)의 고립적 확장 요구
- Startup X 사례:
- 45분 배포 → 2분
(서비스별 배포)
- MTTR(평균 복구 시간) 4시간 → 15분
(고립적 실패 처리)
- 3명의 DevOps 인력 추가
5. 분할 전략 및 도구
- 분할 방식:
- 모듈별 패키징
: /payments
, /notifications
, /users
독립 실행
- 공유 커널
: 인증
, 로깅
등 공통 모듈 유지
- 빌드 분리
: nx run payments:build
로 특정 모듈만 빌드
- 추천 도구:
- Nx
, Turborepo
, Lerna
(모듈 관리)
- Pyroscope
, Datadog
(성능 프로파일링)
- Jaeger
, Prometheus
(관찰성 표준화)
6. 분할 전 점검 사항
- 필수 단계:
- 성능 프로파일링
(실제 병목 지점 파악)
- 명확한 모듈 경계 설정
(예: 결제 ≠ 사용자 인증
)
- 장애 시뮬레이션
(Chaos Monkey 테스트)
결론
- 모놀리스: 소규모 팀, 간단한 배포, 빠른 개발에 적합
- 마이크로서비스: 확장성, 팀 자율성, 기술 다양성 필요 시 선택
- 분할 조건:
팀 간 협업 장애 + 확장성 요구 > 운영 비용
- 핵심 팁:
분할 전 성능 분석
과명확한 경계 설정
필수,도구 표준화
(예: Jaeger, Prometheus) 통해 운영 부담 최소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