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내부 npm 레지스트리로 모노레포 지배하기: Verdaccio, Artifactory, GitHub Packages 활용법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모노레포를 사용하는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. 중간 수준의 npm 패키지 관리와 인프라 설정 지식이 필요.

핵심 요약

  • 모노레포에서의 문제점: @utils/logger 같은 공유 라이브러리의 중복 설치, 버전 불일치, 보안 취약점(left-pad@0.0.1-security).
  • 내부 레지스트리의 핵심 기능: Verdaccio, Artifactory, GitHub Packages를 통해 사용자 정의 패키지 호스팅, 버전 통일, 캐싱 프록시 제공.
  • 설정 예시: npm install -g verdaccio로 5분 내에 자체 호스팅 가능. npm publish --registry 명령어로 패키지 배포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모노레포의 문제점

  • 중복 설치: 10개 팀이 @utils/logger를 10가지 방식으로 설치.
  • 버전 불일치: @ui/button의 버전이 프로젝트별로 다름.
  • 보안 취약점: left-pad@0.0.1-security와 같은 취약 패키지가 생산 환경에 혼입.

2. 내부 레지스트리 도입

  • 사용자 정의 패키지 호스팅: @your-org 같은 조직 내부 패키지 관리.
  • 캐싱 기능: react 같은 대규모 패키지 다운로드 2회 방지.
  • 보안 강화: npm audit 또는 Snyk으로 CVE 취약점 스캔.

3. 도구별 특징

  • Verdaccio:
  • 장점: 무료, 5분 내 설정 가능, npm/yarn/pnpm 호환.
  • 단점: 50명 이상 개발자 확장 시 복잡성 증가.
  • Artifactory:
  • 장점: 기업용 기능(역할 기반 권한, SSO), 다중 언어(Java, Python) 지원.
  • 단점: 비용이 높고, XML 설정 복잡.
  • GitHub Packages:
  • 장점: GitHub Actions와 통합, 공개 저장소 무료.
  • 단점: 사설 저장소 저장 공간 제한, 세부 권한 설정 부족.

4. 구현 전략

  • 버전 관리: npm version patch|minor|major로 세미버전 관리.
  • 자동화: CI/CD로 머지 시 자동 패키지 배포.
  • 문서화: 내부 패키지마다 README 작성 필수.

5. 사례 연구

  • 20명 규모 금융 기술 팀:
  • Verdaccio를 $10/월 VM에 배포.
  • @fintech/utils, @fintech/ui로 공유 코드 이관.
  • 캐싱으로 설치 시간 70% 감소.

결론

  • 내부 레지스트리 선택 가이드:
  • 초기 단계: Verdaccio로 간단한 설정.
  • 기업 규모: Artifactory의 기업 기능 활용.
  • GitHub 중심: GitHub Packages로 CI/CD 통합.
  • 핵심 팁:
  • 보안: 정기적으로 npm audit 실행.
  • 캐싱: 대규모 패키지 다운로드 방지.
  • 문서화: 모든 내부 패키지에 README 포함.
  • 비교: Verdaccio는 비용 효율적이지만 확장성 저하, Artifactory는 기능이 많으나 비용 증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