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일포인트 "MSP 확장해 중소·중견 지원…대기업 수준 보안 관리"
카테고리
인프라/DevOps/보안
서브카테고리
보안
대상자
- *중소·중견기업 및 보안 인력이 부족한 기업**
- 난이도 관점: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지만, 외부 전문가를 통한 관리로 복잡성 완화*
핵심 요약
- MSP 프로그램은 기업이 직접 보안 제품을 구매/운영하지 않고도 외부 파트너를 통해 '결과 중심의 보안 서비스'를 제공
- 두 가지 모델로 운영되며, 현재 후자 모델(파트너가 제품 보유 및 서비스 제공)에 집중
- AI 기반의 신원인증 기술을 통해 사용자 행동 분석 및 이상 징후 조기 감지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MSP 프로그램의 목적 및 필요성
- 기업이 인력/예산 없이도 전문적인 보안 서비스 이용 가능
- AI 기술을 접목한 신원인증이 필요하다는 강조 (사용자 행동 분석, 이상 징후 감지)
- 중소·중견기업 대상으로 보안 운영 여력 부족 문제 해결
2. MSP 프로그램 운영 모델
- 모델 1: 고객이 제품 구매 후 외부 파트너에 보안 운영 위탁
- 모델 2: 파트너가 제품을 먼저 구매/보유한 후 고객에게 서비스 완전 대행
- 모델 2에 집중하여 확장 전략 발표 (대기업 외 중소·중견기업 지원 강화)
3. 실무 적용 및 주요 전략
- 중소·중견기업 대상 '결과 중심의 보안 서비스' 제공
- 외부 MSP 파트너를 통해 보안 운영 복잡성 완화
- AI 기반 신원인증 기술을 통한 능동적 보안 대응 강조
결론
- MSP 프로그램의 후자 모델(파트너가 제품/서비스 제공)을 선택해 보안 운영 복잡성을 줄이고, AI 기반 신원인증 기술을 활용한 능동적 보안 관리가 실무 적용에 유리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