멀티모달 요약 엔진 아키텍처 구축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대상자: API 개발자,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자, 멀티모달 데이터 처리 엔지니어
- 난이도: 중간(모듈 분리, 인터페이스 설계, 병렬 처리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멀티모달 엔진 아키텍처: 비디오/오디오/메타데이터 통합 처리,
fidget-v2.3.1
모델 사용 - 엄격한 인터페이스: 모든 모듈은 JSON 기반 입력/출력 파라미터를 공유
- 확장성 기반 설계: 새로운 모달리티 추가 시 동일한 인터페이스 적용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API 설계
- 단일 엔드포인트:
POST /v1/summarize
- 보안 및 제한: 사용자 쿼터, 토큰 권한, HTTP 400 오류 처리
- 예제 요청/응답:
```bash
curl -X POST -H "Authorization: Bearer sk-f9b9ba37-33b6-40e6-840e-e874d38e04a4" ...
```
- 모델 버전:
fidget-v2.3.1
2. 시스템 흐름
- 인증 → 제한 → 디스패처 순서로 요청 처리
- 모듈 분리: 각 모듈은 독립적 처리로 병렬 처리 가능
- 인터페이스 기준: JSON 객체, 표준화된 오류 코드, 버전 관리
3. 모달리티 선택 기준
- 관련성: 비디오 해상도, 비트레이트 등 메타데이터 활용
- 신뢰성: 표준 컨테이너 포맷, 정의된 오디오 코덱 우선
- 신호 대 잡음비: 사용자 생성 태그 대비 오디오 파형의 신뢰도
4. 모듈 구현
- Metadata Extractor:
_ffprobe
,_id3v2
도구 사용 - Audio Transcriber: GPT 스타일 오미니 모델 적용
- Frame Snapshotter: 신뢰도 기반의 키 프레임 추출
- 공통 입력/출력:
```json
{ "resource_id": "abc123", "input_path": "/tmp/abc123/source.mp4" }
```
5. 데이터 융합
- The Combinator: 모달리티 가중치 적용(예:
audio_transcript: 0.4
) - 가중치 설정:
```yaml
key_frame_text: 0.6
```
- 결과 집합: JSON 파일 기반의 디렉토리 구조
결론
- 핵심 팁: 엄격한 인터페이스 설계와 모듈 분리를 통해 확장성 및 유지보수성 확보
- 예시: 새로운 모달리티(예: OCR 자막)는 동일한 인터페이스 적용 가능
- 구현 방법:
Pipeline Orchestrator
를 통한 모듈 병렬 처리 및 가중치 기반 데이터 융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