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MVC 아키텍처 이해하기: 모델, 뷰, 컨트롤러의 역할과 데이터 흐름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  • 웹 개발 초보자 및 MVC 아키텍처 개념을 이해하고자 하는 개발자
  • 난이도: 중간 (기초 프레임워크 지식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모델(Model) = 데이터 처리 및 비즈니스 로직 (Tweet.find(), User.save())
  • 뷰(View) = UI 렌더링 (HTML, JSON 등)
  • 컨트롤러(Controller) = 요청 처리 및 모델/뷰 간 중개자 (function login(req, res))
  • MVC는 코드 구조 정리를 위한 패턴이며, CRUD 앱에 적합하고 실시간 앱에서는 사용하지 않음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MVC 데이터 흐름

  • 사용자 요청컨트롤러가 요청 처리
  • 컨트롤러모델에 데이터 업데이트 요청
  • 모델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 후 결과 반환
  • 모델의 업데이트된 데이터로 UI 재렌더링

2. 예시: 트윗 좋아요 기능

  • (프론트엔드): POST /tweets/123/like 요청 전송
  • 컨트롤러 (Rails 예시):

```ruby

def like

tweet = Tweet.find(params[:id])

tweet.likes += 1

tweet.save

render json: { likes: tweet.likes }

end

```

  • 모델 (Tweet 클래스): find()save() 메서드로 DB 처리
  • (React 예시): JSON 응답을 받아 UI 업데이트

3. 프레임워크별 MVC 구현 방식

  • Rails = 정확한 MVC 패턴
  • Django = MTV (Model-Template-View)
  • Express.js = 유연한 구조 (개발자 정의)

4. MVC의 장단점

  • 장점:

- 역할 분리로 유지보수성 향상

- 팀 협업에 적합 (분리된 책임)

  • 단점:

- 실시간 앱(예: 웹소켓)에 부적합

- 작은 프로젝트에서는 과도한 복잡성 유발

결론

  • MVC는 아키텍처 패턴이며, CRUD 기반 앱에 적합함
  • 작은 MVC 앱(예: Todo 리스트)을 구현해 역할 분리를 직접 체험해보세요.
  • 프레임워크 선택Rails, Django, Express.js의 차이를 고려해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