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MVVM 패턴을 활용한 .NET 앱 개발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앱 개발

대상자

.NET 앱 개발자, 특히 WPF, MAUI, WinUI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개발자

난이도: 중급 (MVVM 개념 이해 및 CommunityToolkit.Mvvm 사용 경험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MVVMModel, View, ViewModel 3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아키텍처 패턴으로, UI와 데이터 로직의 분리를 통해 유지보수성과 테스트성을 높인다.
  • CommunityToolkit.Mvvm을 사용하면 [ObservableProperty][RelayCommand] 어트리뷰트로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최소화가 가능하다.
  • ViewModelUI 직접 호출 금지단일 책임 원칙을 준수해야 하며, ICommand 바인딩을 통해 UI 액션을 처리한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MVVM 개요

  • MVVMWPF, MAUI, WinUI 등 .NET 앱에서 사용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.
  • Model은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, View는 UI 레이어, ViewModel은 View와 Model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.
  • ViewModelView의 상태와 명령을 노출하여 UI와 데이터 로직의 분리를 실현한다.

2. 실습 예제: WPF 앱 구현

  • User 클래스는 NameAge 속성을 정의하고, UserViewModel[ObservableProperty][RelayCommand] 어트리뷰트로 상태와 명령을 관리한다.
  • XAML에서 Window 요소를 사용하여 View를 정의하고, UserViewModel을 바인딩하여 데이터 흐름을 연결한다.

3. MVVM의 장단점

  • 장점

- Concern Separation: UI 로직과 데이터 로직 분리로 유지보수성 향상.

- 테스트 가능성: ViewModel은 UI 없이 단위 테스트 가능.

- 확장성: 복잡한 앱 개발에 적합.

- 도구 지원: Visual Studio의 바인딩 및 디자인 타임 데이터 지원.

  • 단점

- 학습 곡선: 초보자나 간단한 프로젝트에 복잡함.

- 보일러플레이트 코드: CommunityToolkit.Mvvm 없이 구현 시 코드 복잡도 증가.

- 소규모 앱 적합성 부족: 간단한 앱에 과도한 구조 적용 시 비효율적.

4. 최적화 팁

  • CommunityToolkit.Mvvm 사용: [ObservableProperty][RelayCommand]로 코드 간결화.
  • ViewModel에서 UI 직접 호출 금지: MessageBox.Show() 등 직접 호출은 금지.
  • ICommand 바인딩 준수: 액션을 ICommand를 통해 정확히 연결.
  • 단일 책임 원칙 준수: ViewModel은 특정 기능만 담당하도록 설계.

결론

  • CommunityToolkit.Mvvm을 활용해 MVVM 구현 시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줄이고, ViewModel은 UI와 분리된 상태로 설계해야 한다.
  • ICommand 바인딩과 단일 책임 원칙을 준수하면 앱의 확장성과 테스트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.
  • MVVM은 데스크탑 및 크로스플랫폼 앱 개발에 강력한 아키텍처 기반으로, 도구 지원을 통해 개발 생산성을 높인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