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n8n 보안: 취약점과 방어 전략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인프라/DevOps/보안

대상자

- n8n 워크플로우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보안 전문가

- 난이도: 중급 (보안 취약점 분석 및 방어 전략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RCE 취약점 방어: Execute Command/Function/Code 노드 사용 금지, eval() 실행 차단, 프로세스 격리 적용
  • SQL/XSS 주입 방지: 파라미터화 쿼리 사용 (Postgres 노드), HTML 특수 문자 이스케이프, CSP 헤더 적용
  • 인증 및 권한 강화: 사용자 ID/그룹 허용 목록 제한, RBAC 및 2FA 도입, 웹훅 시 Webhook Token 사용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주요 공격 유형 및 예방 조치

  • RCE 공격: Execute Command 노드를 통한 서버 명령 실행, eval() 사용 금지 (CVE-2023-27562 예시)
  • SQL 주입: MySQL 노드에서 파라미터화 쿼리 사용 미지원 → 수동 이스케이프 필요
  • XSS 주입: 웹 인터페이스에서 HTML/Markdown 활성화 시 특수 문자 이스케이프 필수
  • 필터 우회: 유니코드 공백 문자, 호모글리프 사용으로 명령어 숨기기, user_id 검증 강화

2. 공격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방법

  • Telegram Bot 공격: deep-link (t.me/?start=PAYLOAD) 통해 Markdown/HTML 해석 오류 유발
  • Webhook 공격: 가짜 Telegram JSON 요청 (update_id, message 필드 포함)으로 메시지 위장
  • 특수 문자 테스트: Base64, URL 인코딩, 유니코드 변환으로 입력 검증 회피 시도
  • 비즈니스 로직 테스트: SQL 쿼리 (; DROP TABLE) 또는 JS 코드 (payload) 주입 시도

3. 보안 테스트 및 로깅

  • 자동화 테스트: Postman/cURL로 웹훅 요청 시뮬레이션, Telegram Bot API 기반 자동 테스트 도구 활용
  • 로그 분석: ELK/Kibana로 이상 패턴 감지 (반복 실패 명령, 비정상 요청)
  • Fuzz 테스트: BotFuzzer 프레임워크로 무작위 문자열 자동 생성, Function/Code 노드의 eval() 사용 검증

4. 방어 전략 및 구현

  • 메시지 필터링: HTML 태그 제거, SQL 쿼리 파라미터화, JSON 스키마 검증
  • 워크플로우 설계: Execute Command 노드 차단, HTTP Request 노드 사용 시 URL 도메인 허용 목록 적용
  • 권한 제어: RBAC 도입, 웹훅 Webhook Token 사용, n8n 업데이트 (v0.216.1 이상)

결론

  • 핵심 팁: n8n 업데이트 (CVE 패치 적용), eval() 사용 금지, 웹훅 보안 토큰 도입, 로그 분석으로 이상 트래픽 감지
  • 예시: CVE-2023-27562 패치 적용 시 /rest/credential-translation 엔드포인트 경로 탐색 방지
  • 실무 적용: BotFuzzer로 자동화 테스트 수행, Function/Code 노드의 eval() 사용 검토 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