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기초연구에서 산업혁신으로"…국가 AI 연구거점, 첫 오픈랩 개최
카테고리
데이터 과학/AI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, 머신러닝
대상자
AI 연구자, 산업계 기술 개발자, 정책 입안자
- 난이도: 중급 이상 (AI 생태계 구축 전략 및 산학연 협력 모델 이해 필요)*
핵심 요약
- 국가 AI 연구거점은 2027년까지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기초연구-산업연계 혁신 생태계 구축에 집중
- 3대 전략 방향: 공공 주도 고위험 AI 연구, 이론 기반 프로그램 강화, 차세대 AI 모델 기술 제안
- 산학연 협력 강조: 기업은 기술 실증 및 제품화 주체, 연구 거점은 기초 기술 개발 및 공유
섹션별 세부 요약
1. 행사 개요 및 주요 메시지
- AI 이노베이션 쇼케이스 @ NAIRL 2025는 국가 AI 연구거점의 첫 공개 행사로, 기초연구와 산업 융합을 통한 혁신 씨앗 마련을 목표
- 김기응 센터장은 "이번 행사는 단순한 성과 발표가 아닌, 대한민국 미래 설계의 플랫폼"이라는 강조
2. 연구 거점의 전략적 방향성
- 3대 전략:
- 고위험·고난도 AI 연구 (공공 주도)
- 세계적 수준 이론 기반 프로그램 구축
- 차세대 AI 모델 기술 제안
- 2027년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핵심 기여 목표
3. 산학연 협력 모델
- 기업은 기술 수요자 및 제품화 주체로, 연구 성과의 실질적 기술 이전 및 공동 개발 추진
- 민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기초 기술은 연구 거점이 담당, 기업은 실증 및 제품화 연결
4. 행사의 상징성 및 향후 계획
-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장은정 단장은 이 행사를 AI 생태계 강화 및 글로벌 공동연구 확대의 전환점으로 평가
- 5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AI가 있으며, 이 행사가 사회·문화 변화의 역사적 출발점으로 기대
결론
-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 산학연 협력 강화 및 공공-민간 기술 분담 체계 마련이 핵심
- 2027년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기초 기술 개발-산업 연계가 실무 적용에 주요 방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