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네이티브 다크 모드 구현 방법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프론트엔드 개발자, UX/UI 디자이너,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CSS 변수와 prefers-color-scheme 미디어 쿼리 사용하여 시스템 설정 기반 다크 모드 자동 적용
  • JavaScript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 저장 및 동적 테마 전환 구현
  • localStorage 활용하여 사용자 설정 지속 관리
  • Flash of Inaccurate Color Theme(FICT) 방지 위해 스크립트 실행 시점 주의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CSS 변수 기반 테마 파일 생성

  • :root--background-color, --text-color 등 기본 색상 변수 정의
  • light.cssdark.css 파일로 각각의 색상 변수 분리
  • body 스타일에서 var(--background-color)var(--text-color) 사용

2. 미디어 쿼리 기반 자동 테마 전환

  • prefers-color-scheme 미디어 쿼리로 시스템 설정에 따른 테마 자동 적용
  • @media (prefers-color-scheme: dark)@media (prefers-color-scheme: light) 사용

3. JavaScript 기반 사용자 설정 처리

  • matchMedia API로 브라우저 기능 지원 여부 확인
  • localStorage에 사용자 선호 테마 저장 (saveColorScheme)
  • switchMedia 함수로 CSS 링크 태그의 media 속성 동적으로 변경

4.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요소 추가

  • input[type="radio"]를 활용한 light, dark, auto 3가지 옵션 제공
  • DOMContentLoaded 이벤트 후 initColorSchemeControls 실행하여 UI 상태 초기화

5. 성능 및 UX 고려사항

  • 스크립트를 상단에 삽입하여 FICT 방지
  • async 속성 사용 시 initColorSchemeControls 실행 시점 주의
  • JavaScript 코드 최소화하여 First Contentful Paint 영향 최소화

결론

  • prefers-color-scheme 미디어 쿼리와 localStorage를 결합하여 사용자 선호도에 맞는 테마 전환 구현
  • switchMedia 함수로 CSS 파일 동적 로드 및 미디어 쿼리 변경으로 테마 전환
  • FICT 방지를 위해 스크립트 실행 시점 조정 및 코드 최적화 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