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네이버플러스 스토어가 쿠팡고객을 데려왔다는 건에 대하여

카테고리

기획

서브카테고리

그로스 마케팅

대상자

  • *전자상거래 플랫폼 기획자, 마케팅 전략가**
  • *난이도**: 초보자 대상 기초 개념 설명 포함

핵심 요약

  • "쿠팡 고객 유입"은 오해하기 쉬운 수치로, 쿠팡 사용자 대부분이 기존 쿠팡 이용 이력이 있는 상태
  • 쿠팡의 48.0% 사용자가 단독 이용 vs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6.5% 단독 이용
  • 사용 시간 증가 속도 둔화로, 쿠팡과의 경쟁에서 실질적 우위 확보 어려움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성장과 쿠팡 유입 의문점

  • 3월 MAU 268만 명 → 5월 490만 명으로 성장
  • 사용자 중 83.1%가 전달 쿠팡 사용자로 추정
  • "쿠팡 고객 유입"이라는 표현은 오해 유발 가능 (기존 쿠팡 사용자 대부분 포함)

2. 쿠팡의 시장 지배력 분석

  • 쿠팡 MAU 3,374만 명 → 쇼핑 앱 전체 사용자의 82.4%
  • 쿠팡은 이커머스 시장에서 압도적 영향력
  •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"쿠팡 유입"은 자연스러운 현상

3. 실질적 경쟁력 분석: 단독 사용률과 사용 시간

  • 쿠팡: 48.0% 단독 사용자 vs 네이버플러스 스토어: 6.5% 단독 사용자
  • 평균 사용 시간: 3월 27분 → 5월 35분 (증가 폭 둔화)
  • 사용 시간 확보가 경쟁력 핵심 (발견형 쇼핑 전환에 중요한 지표)

결론

  • 쿠팡과의 경쟁에서 실질적 우위 확보 위해 '사용 시간 확보'가 필수
  • 단순한 유입보다 '시간 이동' 기능 및 콘텐츠 확충 필요
  • 단독 사용률 격차 해소가 장기적 목표 (현재 48.0% vs 6.5%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