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H투자증권 '슬랙' 도입…"韓 금융권 첫 사례"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금융권 IT 담당자, 협업 플랫폼 도입 검토자, 보안 규제 준수 담당자
핵심 요약
- NH투자증권이 슬랙 도입으로 국내 금융권 첫 사례로, 온프레미스 시스템 문제 해소에 성공
- 보안 기능(정보유출방지 DLP, 감사로그)을 통해 금융규제 준수를 달성
- 슬랙 AI, 허들, 캔버스, 리스트 등 핵심 기능을 모바일/PC 통합 지원하여 협업 효율성 향상
섹션별 세부 요약
1. 슬랙 도입 배경
- NH투자증권,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기반으로 슬랙 도입
-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의 모바일 접근 한계 및 부서 간 비효율 문제 해결 목표
- 초기 인프라 투자 비용 절감과 최신 기능 신속 도입 가능
2. 슬랙의 주요 기능
- 슬랙 AI → 데이터 기반 분석 지원
- 슬랙 허들 → 화상회의 기능
- 슬랙 캔버스 → 문서 협업 툴
- 슬랙 리스트 → 프로젝트 관리 기능
- 모바일/PC/태블릿에서의 직관적 사용 가능성
3. 보안 및 확장 계획
- DLP 기능과 감사로그를 통한 금융권 보안 규제 준수
- 디지털 사업부에서 외부망/내부망 확장 적용 계획
- 실시간 협업 기반 의사결정 구조로 고객 대응력 향상 기대
결론
- 금융규제 준수와 협업 효율성 향상을 위한 슬랙 도입 사례로, 보안 기능과 기능 확장성이 핵심 성공 요인
- DevOps 팀과 보안 담당자 협업이 필수적이고, SaaS 기반 솔루션의 규제 준수 전략이 중요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