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Node.js 기초: 함수 표현식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  • 대상자: React, Node.js, Vanilla JS 개발자
  • 난이도: 중급~고급 (함수 표현식, 클로저, 고차함수 활용)

핵심 요약

  • 함수 표현식의 핵심 활용:

- React에서 동적 렌더링을 위한 chartRenderers 객체 사용 (예: const Renderer = chartRenderers[type])

- Vanilla JS에서 이벤트 핸들러에 맥락 전달 (예: handleClick(message) => () => alert(message))

  • 성능 및 안정성 고려사항:

- 클로저 사용 시 메모리 누수 방지 (timeoutId 관리), debounce 패턴으로 비용 효율적 실행

- this 바인딩 오류 방지 (화살표 함수 또는 .bind() 사용)

  • 보안 및 테스트:

- 사용자 입력 기반 함수 생성 시 DOMPurify, zod로 입력 검증

- Jest, Vitest로 단위/통합 테스트, Playwright로 브라우저 환경 테스트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동적 렌더링 (React 예제)

  • chartRenderers 객체를 통해 차트 타입에 따른 렌더링 함수 동적으로 할당
  • const Renderer = chartRenderers[type]로 조건 분기 대체 (Open/Closed Principle 준수)
  • React 컴포넌트에서 Rendererprops로 전달하여 재사용성 향상

2. 이벤트 핸들러와 맥락 전달 (Vanilla JS)

  • createButton 함수에서 handleClickmessage로 캡처하여 이벤트 핸들러 전달
  • 클로저를 통해 외부 변수(message) 참조 (예: handleClick('Hello, world!'))
  • addEventListener로 이벤트 리스너 등록

3. 고차함수를 통한 데이터 변환

  • applyMiddleware 함수로 미들웨어 체인 구성 (예: logger 미들웨어 적용)
  • reduceRight로 미들웨어 순서 반전하여 실행
  • action 객체를 next 함수로 전달하여 상태 처리

4. 디바운스/트로트팅 패턴

  • debounce 함수로 반복 호출 시 실행 간격 제어 (예: setTimeout 활용)
  • expensiveOperation 함수를 debouncedOperation으로 감싸서 호출
  • delay 인자로 실행 지연 시간 설정 (예: 300ms)

5. 보안 및 성능 고려사항

  • eval() 또는 new Function() 사용 시 DOMPurify, zod로 입력 검증
  • core-js, Babel을 통해 ES6+ 기능을 IE11 호환
  • polyfill.io로 브라우저 기반 동적 폴리필 로딩

6. 테스트 및 디버깅

  • Jest, Vitest로 단위 테스트 (예: describe, test 활용)
  • Playwright, Cypress로 브라우저 환경 통합 테스트
  • console.time, console.timeEnd로 성능 측정 및 DevTools로 메모리 누수 분석

결론

  • 핵심 팁:

- TypeScript로 타입 안전성 강화 (예: const Renderer: Function = chartRenderers[type])

- lodash.memoize로 비용 많은 함수 호출 캐싱

- this 바인딩 오류 방지를 위해 화살표 함수 또는 .bind() 사용

- console.table로 복잡한 데이터 구조 시각화 및 source maps으로 트랜스파일 코드 디버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