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Node.js 기초: 콜백 이해하기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자, 특히 비동기 처리와 노드.js I/O 작업에 관심 있는 중급 이상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콜백은 비동기 작업 완료 후 실행되는 함수로, JavaScript의 이벤트 루프 및 비동기 처리의 핵심 메커니즘
  • 노드.js의 파일 시스템(fs) 모듈과 브라우저의 DOM 이벤트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됨
  • 콜백은 async/await과 함께 사용되며, 이중 중첩된 콜백 구조(callback hell)를 피하는 것이 중요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이벤트 처리

  • DOM 이벤트 시스템은 콜백을 통해 사용자 상호작용을 처리 (예: addEventListener)
  • button.addEventListener('click', ...): 클릭 이벤트 발생 시 콜백 실행
  • 브라우저 환경에서 이벤트 루프가 콜백 큐를 관리

2. 비동기 파일 I/O (노드.js)

  • fs.readFile은 콜백을 통해 파일 읽기 작업 수행
  • 예: fs.readFile('myFile.txt', (err, data) => { ... })
  • 에러 처리 로직이 필수적 (예: if (err) console.error(err))

3. 배열 메서드

  • Array.map, Array.forEach, Array.filter 등은 콜백을 통해 배열 요소 처리
  • 예: numbers.map(number => number * number)

4. React 컴포넌트 생명주기 (전통적)

  • componentDidMount와 같은 생명주기 메서드에서 fetch API 사용
  • async/await 대신 then() 체이닝으로 비동기 데이터 처리

결론

  • 콜백은 비동기 작업의 기초이지만, async/await과 함께 사용하여 가독성 향상과 callback hell 방지가 필수적
  • 노드.js와 브라우저의 이벤트 루프 동작을 이해하고, 에러 처리 및 비동기 작업 순서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실무에서 중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