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de.js 기초: let 키워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JavaScript 및 React, Node.js 개발자. 중급 이상의 이해를 요구하며, 스코프, 비동기 처리, 성능 최적화 등의 개념이 포함됨.
핵심 요약
let
은 블록 스코프를 제공하고var
과 달리 호이스팅 시 초기화되지 않아 'Temporal Dead Zone(TDZ)' 발생.- React 및 Node.js 환경에서
let
은 루프, 비동기 처리, 상태 관리 등에서 유용하며,const
보다 유연성 제공. - 모던 브라우저는
let
을 지원하지만, IE11 이하에서는 Babel을 통한 트랜스파일 필요.
섹션별 세부 요약
1. `let`과 `var`의 차이
let
은 블록 스코프(예:if
,for
내부)에 적용되며,var
은 함수 또는 전역 스코프.let
은 호이스팅되지만 초기화되지 않아 TDZ 발생(예:ReferenceError
).var
은 호이스팅 및 초기화(값undefined
로) 됨.
2. 주요 사용 사례
- 루프 카운터:
let
은 루프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해 스코프 오염 방지. - 비동기 처리:
var
사용 시 모든 반복이 동일한 값을 참조할 수 있음. - React 상태 업데이트:
useState
와 함께 사용 시 임시 변수 관리에 유리. - Node.js 모듈:
let
은 모듈 내부에서 변수를 특정 함수/블록에 제한해 노출 방지. - 조건부 변수 선언: 특정 조건에서만 변수 선언 가능해 코드 가독성 향상.
3. 호환성 및 트랜스파일
- 모던 브라우저: Chrome, Firefox, Safari, Edge, Node.js 12+ 지원.
- IE11 이하: Babel +
@babel/preset-env
로let
을var
으로 트랜스파일. - Webpack 설정:
babel-loader
를 통해 트랜스파일 적용.
4. 성능 및 보안 고려사항
- 성능:
let
은 현대 엔진에서 최적화됨.var
보다 오버헤드 없음. - 보안:
let
자체는 보안 취약점 유발하지 않지만, 스코프 오류로 인한 취약점 가능성. - 사용 권장: 사용자 입력은
DOMPurify
,zod
등으로 검증해야 함.
5. 테스트 및 디버깅
- 단위 테스트: Jest/Vitest로
let
의 스코프 동작 검증. - 디버깅: DevTools로 변수 값 확인,
console.table
활용. - 소스 맵: 트랜스파일 코드 디버깅 시 필수.
결론
let
은 블록 스코프와 TDZ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.- 가능하면
const
사용,let
은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. - IE11 이하 지원 시 Babel 트랜스파일 적용.
- 단위 테스트로 스코프 동작 검증하고,
const
우선 사용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