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de.js로 AI 어시스턴트 구축 로드맵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Node.js로 AI 어시스턴트 구축: 제로에서 시작하는 로드맵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

대상자

  • JavaScript/Node.js 개발자 및 AI 기술에 관심 있는 개발자
  • 중급 이상 난이도: LangChain, PGVector, RAG 등 AI/ML 도구 활용 경험 필요

핵심 요약

  • Node.js + LangChain 기반 AI 어시스턴트 개발 프로세스 전반을 다룸
  • RAG(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) 통한 사실 기반 응답 생성MCP(Model-Context Protocol) 기반 동적 도구 호출 구현
  • PGVectorRedis를 활용한 대화 기록 관리 및 벡터 임베딩 처리 핵심 전략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환경 설정 및 도구 이해

  • Node.js, LangChain, PGVector, Redis, ai-sdk 등의 핵심 라이브러리 설치 및 환경 구성
  • 스케일러블한 개발 환경 구축으로 디버깅 시간 절약

2. 챗봇 기초 구현

  • ai-sdk로 프론트엔드 UI 구축: LLM 대화 처리 및 응답 렌더링
  • LangChain으로 백엔드 로직 분리: 프론트엔드 중심 vs 백엔드 제어 아키텍처 비교

3. 데이터베이스 연동

  • PostgreSQL/MongoDB 등으로 대화 기록, 사용자 설정, 도구 로그 저장
  • 상태 없는 챗봇 → 컨텍스트 인식 어시스턴트 전환 가능

4. 챗봇 메모리 구현

  • Redis, Local Storage, LangChain 메모리 모듈을 활용한 다중 턴 대화 컨텍스트 유지

5. PGVector와 벡터 임베딩

  • 텍스트를 수치 벡터로 변환하는 임베딩 모델 이해 및 PGVector를 통한 효율적 저장/검색
  • 세마틱 이해를 통한 관련 정보 검색 가능

6. RAG 시스템 구성

  • RAG(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): 검색 시스템과 언어 모델 결합으로 동적, 정확한 응답 생성
  • 신뢰할 수 있는 출처 기반의 사실 기반 응답 구현

7. MCP(Integration) 적용

  • MCP(Model-Context Protocol): LangChain의 도구 호출 기능을 구조화된 방식으로 확장
  • 동적 도구 호출을 통한 어시스턴트 기능성 강화

8. 서버 구축 및 MCP 연동

  • Streamable HTTP 서버를 통해 실시간 상호작용 및 리소스 관리
  • MCP + LangChain 연동으로 도구 호출-결과 처리 흐름 통합

9. 도구 호출 전략

  • 의도 기반(사용자 의도에 따른 명시적 도구 호출) vs 자율 결정(LLM이 자율적으로 도구 선택) 전략 비교

10. 종합 시스템 통합

  • 메모리, RAG, MCP, LangChain 백엔드를 통합된 AI 어시스턴트 시스템으로 구축

결론

  • RAG + MCP 통합을 통해 사실 기반 응답동적 기능 확장 달성
  • ai-sdk와 같은 다양한 프레임워크 비교로 기술 습득 범위 확대
  • 구조화된 아키텍처 설계(LangChain + MCP)가 실무 적용 시 확장성과 유지보수성 향상에 기여

---

> 📌 핵심 팁: RAG는 검색 시스템과 언어 모델의 결합으로 정확한 응답 생성 가능, MCP는 도구 호출을 구조화하여 어시스턴트 기능성 강화 가능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