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 팀이 Node.js 백엔드의 90% 런타임 버그를 해결한 미들웨어 사용법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Node.js 백엔드 개발자, REST API 구현 시 실무적인 오류 처리를 고민하는 개발자
난이도: 중간 (미들웨어 구현 기초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미들웨어 추가로 90%의 런타임 버그 해결
- Express.js 기반 백엔드에서 오류 처리 미들웨어 도입
express().use()
로 오류 로깅 및 중앙 집중 처리 구현
섹션별 세부 요약
1. 초기 백엔드 아키텍처
- 표준 스택 사용: Express.js, MongoDB + Mongoose, REST API
- 기본 기능: CRUD API, JSON 기반 통신
- 초기 오류 발생: 로컬 테스트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, 프로덕션에서 비정상 종료, 무작위 오류 발생
2. 복잡도 증가로 인한 버그 증가
- 추가 기능: 인증, 데이터 필터링, 파일 업로드, 레이트 제한 등
- 문제점: 로컬 테스트에서 발견되지 않는 잠재적 오류 증가
- 기존 솔루션 실패: 단위 테스트 및 코드 리뷰로 해결 불가
3. 미들웨어 기반 오류 처리 도입
- 핵심 기능:
- try/catch
대신 중앙 오류 처리 미들웨어 사용
- res.status(500).json()
으로 오류 메시지 표준화
- console.error()
로 오류 로깅 및 스택 트레이스 수집
- 기존 코드 변경 없이 오류 감지
4. 구현 방법
- 미들웨어 등록:
app.use((err, req, res, next) => {...})
- 에러 유형 분류:
err.status
로 HTTP 상태 코드 매핑 - 로그 수집: 에러 타임스탬프, 요청 경로, 스택 트레이스 포함
결론
- 미들웨어 기반 오류 처리로 90%의 런타임 버그 해결 가능
- Express.js
express().use()
로 간단한 구현 가능 - 로그 수집을 통해 프로덕션 오류 추적 효율성 극대화
- 핵심 팁:
res.status()
로 응답 코드 일관성 유지,console.error()
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