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de.js를 사용한 게시물 생성 시스템 구축" – which is 32 characters. The SE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콘텐츠 관리 시스템: Node.js를 사용한 게시물 생성 시스템 구축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백엔드 개발자, CMS 시스템 구축자, Node.js 및 MongoDB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MongoDB 스키마 정의

- mongoose.Schema를 사용해 title, body, meta 등의 필드를 포함한 게시물 스키마 생성

- createdupdated 필드에 날짜/시간/사용자 정보를 분리 저장

  • Node.js 백엔드 구현

- postsController.createNewPost 함수를 통해 게시물 생성 로직 구현

- Express를 사용해 /api/posts/create 라우트 정의

  • API/컨트롤러 통합

- posts.router.js로 라우트 정의 후 api.js에 통합

- 에러 처리 및 성공 응답 로직 포함 (400, 200, 500 상태 코드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게시물 스키마 정의

  • posts.mongo.js 파일에서 mongoose.Schema로 게시물 구조 정의
  • 필드 예시: title, subTitle, status, archived, slug, language, meta, body
  • body 필드는 typecontent 속성을 가진 배열 형식 사용
  • createdupdated 필드에 날짜, 시간, 사용자 정보를 별도 객체로 분리

2. 게시물 생성 함수 구현

  • postsController.createNewPost 함수 정의
  • posts.create(payload)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게시물 저장
  • 에러 처리: try-catch 블록으로 예외 처리 및 로깅

3. API 라우트 설정

  • posts.router.js 파일에서 Express 라우터 정의
  • /create 엔드포인트에 postsController.createNewPost 함수 연결
  • api.js 파일에서 /api/posts 경로로 라우트 그룹핑

4. 컨트롤러 요청 처리

  • req.body에서 post 데이터 추출
  • 필수 필드 검증: post가 없을 경우 400 상태 코드 반환
  • 성공 시 생성된 게시물 반환, 실패 시 500 상태 코드 반환

5. 결론 및 확장성

  • 백엔드 인프라 구축 완료 후 프론트엔드 개발 가능
  • 다음 단계: 게시물 수정, 삭제, 검색 기능 추가
  • 확장성 고려: 기존 스키마에 새로운 필드 추가 가능

결론

  • 백엔드 인프라를 통해 게시물 생성 기능 구현 후, 프론트엔드 UI와 연동하여 CMS 완성
  • MongoDB 스키마Express 라우팅을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 설계
  • mongoose.Schema, Express.Router, try-catch 등의 핵심 기술 사용 시 유연한 시스템 유지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