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6살 비전공자에서, 30살 네이버 신입까지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앱 개발
대상자
비전공자 개발자, 취업 준비자, 창업 준비자
핵심 요약
- 비전공자로서 개발자로의 전환 여정을 통해 '문제 해결 능력'과 ' 추진력'을 핵심 차별점으로 삼아 네이버에 합격
- Flutter, Docker, Firebase 등 기술 습득과 '카페자리' 앱 개발을 통해 실무 경험 쌓음
- 예비창업패키지 등 정부 지원사업 활용으로 창업 경험 및 기술 역량 확장
섹션별 세부 요약
1. 전공 탈출과 초기 개발자 경험
- 건축공학과 졸업 후 창업 의지로 휴학, 과외/강사 수입으로 개발 자금 마련
- 유튜브 채널 운영하며 '버스 경로 안내 앱'과 '출입 카운트 센서' 등 토이 프로젝트 진행
- 2022년 AI 기반 '강아지/고양이 귀여움 점수화 모델' 개발로 서버/호스팅 기초 개념 습득
2. '카페자리' 앱 개발과 창업 시도
- Android/iOS 네이티브 앱 개발 및 Django 서버 구축으로 AWS 연동
- 예비창업패키지 지원 성공 후 법인 설립 및 5,000만 원 지원금 확보
- Flutter로 앱 통합 리뉴얼, Docker 도입으로 개발 효율성 향상
3. 서비스 운영 실패와 기술 성장
- '사용자 기반 혼잡도 데이터 수집' 모델의 한계로 서비스 유저 감소
- 4대 보험, 세무 등 창업 관련 지식 체득 및 Flutter/Docker/Git 기술 숙련도 향상
- 코딩테스트 3개월 준비 및 CS 기본지식(자료구조, 네트워크 등) 강의 수강
4. 네이버 합격까지의 취업 준비
- 2024년 하반기 100개 회사 지원 실패 후 포트폴리오/이력서 개선 및 면접 경험 확대
- '스키 강사 플랫폼' Flutter 프로젝트 진행으로 실무 감각 유지
- 2025년 상반기 네이버 Android 직무 서류/기술면접/최종면접 통과 후 합격
결론
- 비전공자 개발자로서 '문제 해결 능력'과 '실무 경험'을 강조한 포트폴리오 구축이 핵심
- 정부 지원사업(예비창업패키지) 활용, Flutter/Docker 등 기술 습득, 코딩테스트 집중 준비가 성공 요인
- "비전공자임에도 자신 있는 분야에 집요하게 집중"하는 태도가 면접에서 차별점이 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