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neEntry와 KMM: Swift와 Kotlin을 활용한 모바일 개발 통합 플랫폼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앱 개발, DevOps
대상자
iOS와 Android 개발자, 중소기업 및 중간 규모 팀
- 난이도: 중간 (KMM 및 OneEntry SDK 사용에 기본적인 Kotlin/Swift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KMM (Kotlin Multiplatform Mobile)과 OneEntry 플랫폼은 iOS 및 Android 앱에서 공유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여 코드 중복 최소화와 유지보수 비용 절감 가능
- OneEntry SDK는
cloud.oneentry:sdk-catalog:1.2.6
등 타입 안전한 API 제공으로 서버 인프라 구축 없이 사용 가능 - 수평/수직 확장 지원, 자동 로드 밸런싱 및 캐싱 메커니즘으로 고부하 시스템 안정성 확보
섹션별 세부 요약
1. 문제 정의 및 KMM/OneEntry 소개
- 문제: iOS/Android 별도 개발로 인한 코드 중복, 유지보수 비용 증가, 플랫폼 간 불일치
- KMM: Android/Kotlin과 iOS/Swift 간 공유 로직 구현 가능 (예:
commonMain
폴더 활용) - OneEntry: PaaS 기반 공유 모듈 제공으로 개발자 집중도 향상
2. OneEntry SDK 주요 기능
- 타입 안전한 시스템 기능 접근: 사용자 관리, 인증, 카탈로그, 주문 처리 등
- 단일 API 인터페이스:
OneEntryCore.initialize(...)
로 플랫폼 통합 간소화 - 서버 인프라 제거: 소규모 팀의 빠른 시장 출시 지원
3. 확장성 및 성능 최적화
- 자동 로드 밸런싱:
sample.oneentry.cloud
호스팅 시 트래픽 급증 대응 - 캐싱 메커니즘: 제품 카드, 사용자 프로필 등 자주 요청되는 데이터의 지연 시간 감소
- SQL 최적화: 인덱스 사용 및 수평 DB 확장 지원 (대규모 시스템 대응)
4. KMM과 Swift 통합 방법
- Kotlin/Native 모듈 생성 및
build.gradle.kts
설정 (예:implementation("cloud.oneentry:sdk-catalog:1.2.6")
) - Swift-SKIE (Swift-Kotlin Interoperability Enhancement) 활용: 타입 호환성 보장 및 비동기 함수 처리
- Kotlin Coroutines 및 Serialization 사용: 비동기 처리 및 JSON 파싱 효율성 향상
5. 보안 및 주요 고려사항
- 보안 모델: 액세스 토큰 기반 인증, mTLS 인증, API 요청 차단 방지
- 타입 호환성 문제: 복잡한 구조체 전달 시 래퍼/어댑터 사용 권장
- 에러 처리: Swift 측에서
try/catch
및 안전한 콜백 구현
결론
- OneEntry + KMM 조합은 유니파이드 아키텍처, 중앙 집중형 로직 관리, 보안 API를 통해 개발 생산성 증대 및 비용 절감 가능
- 실무 권장사항: Kotlin Coroutines, Serialization 사용, 타입 정의 일관성 유지, 공유 모듈의 복잡한 구조 제거
> "OneEntry와 KMM의 통합은 복잡한 모바일 솔루션을 빠르게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술 기반을 제공합니다.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