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ops2okay: Gemini AI 기반 디버깅 도구로 빠르게 문제 해결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oops2okay: AI 기반 개발자 디버깅 도구 소개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  • 대상: 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, AI 도구 사용자
  • 난이도: 중급 (AI 통합, 기술 스택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AI 기반 디버깅 툴: Gemini 2.0 Flash를 사용해 코드 + 에러 메시지 입력 시 즉시 원인 분석 및 수정 코드 제공
  • 기술 스택:

- 프론트엔드: React, Vite, Tailwind CSS

- 백엔드: FastAPI, Gemini 2.0 Flash API

  • 주요 기능:

- 디버깅 히스토리 저장 (localStorage 활용)

- 에러 파싱 정리 함수 (cleanJsonResponse 함수로 마크다운/JSON 오류 처리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프론트엔드 (/client)

  • 기술 스택: Vite + React + Tailwind CSS
  • 기능:

- 사용자가 코드 및 에러 메시지 입력 후 POST 요청으로 백엔드에 전송

- AI 생성 수정 코드 표시 및 로컬 스토리지에 디버깅 히스토리 저장

  • 호스팅: Vercel

2. 백엔드 (/server)

  • 기술 스택: FastAPI (Python) + Gemini 2.0 Flash API
  • 기능:

- FastAPI를 통해 입력 받은 후 Gemini 2.0 Flash API 호출

- AI 제안/수정 코드 반환

  • 호스팅: Render (무료 계층)

3. Gemini 통합

  • 코드 예시:

```python

import google.generativeai as genai

from dotenv import load_dotenv

load_dotenv()

GOOGLE_API_KEY = os.getenv("GOOGLE_AI_API_KEY")

genai.configure(api_key=GOOGLE_API_KEY)

model = genai.GenerativeModel("gemini-2.0-flash")

```

  • 선택 이유:

- 속도 및 가벼운 성능을 위해 gemini-2.0-flash 모델 사용

- JSON 형태의 응답 기대 (마크다운 코드 블록 내에서 반환)

4. 주요 도전 과제

  • 백엔드 콜드 스타트:

- Render의 무료 계층에서 15–20초 지연 발생

- 사용자 경험에 영향

  • AI 응답 파싱:

- Gemini의 출력이 마크다운 또는 잘못된 JSON 포함 시 cleanJsonResponse 함수로 정리

  • 히스토리 관리:

- localStorage로 디버깅 히스토리 저장 → 엔트리 수 제한 필요

5. 추가 기능

  • 예시 프롬프트/에러 템플릿 제공
  • GitHub/Google 로그인 연동
  • 참고 자료 링크 강화

결론

  • 실무 적용 팁:

- AI 응답의 마크다운/JSON 오류를 cleanJsonResponse 함수로 처리

- Gemini 2.0 Flash의 가벼운 성능을 활용해 실시간 디버깅 지원

- Render 호스팅의 콜드 스타트 지연을 고려해 사용자 경험 최적화 필요

  • 예시: oops2okay는 GitHub에서 확인 가능 (라이브 데모 링크 제공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