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픈소스 기반 팟레이톤 대체 플랫폼 100일 프로젝트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웹 개발자, 오픈소스 기여자, 콘텐츠 창작자
- 난이도: 중급~고급 (프로젝트 관리, UX/UI 개선, 웹 개발 기술 요구)
핵심 요약
- Patreon의 주요 문제점: 개별 콘텐츠 단위 수익화 기능 부재, 사용자 경험 부족
- 제안된 해결책: "Credit 기반 구독 모델" 도입 (유료 콘텐츠 구매 시 "Credits" 지급, 사용자별 콘텐츠 추적 기능 추가)
- 100일 개발 계획: 도메인 확보 → 웹사이트 런칭 → 사용자 확보 → 베타테스터 유치 → 컨퍼런스 마케팅 등 단계별 실행
섹션별 세부 요약
- Patreon의 문제점 분석
- 창작자가 개별 콘텐츠 단위로 수익화 불가 → 연속적인 콘텐츠 업로드 압박 유발
- 사용자가 이전 읽은 콘텐츠 위치 파악 불가 → "좋아요" 기능으로 대체하는 현재 한계
- 제안된 해결책
- Credit 기반 구독 모델 도입:
- 사용자가 월별 Credit 구매 후, 특정 콘텐츠에 Credit 소비 가능
- 자동화된 콘텐츠 추적 시스템 구축 (예: 마지막 읽은 콘텐츠 #80 → #81 자동 인식)
- 프로젝트 일정
- Day 1-3: 도메인 확보 (patron.com 또는 유사 도메인)
- Day 4-10: Neo-Brutalist 스타일 웹사이트 런칭 + 라이프타임 저비용 정책 (5% 미만)
- Day 11-14: 프로젝트 비전 설명 블로그 포스팅
- Day 18-30: HackerNews, r/progressionfantasy 등 타겟 커뮤니티에서 프로젝트 홍보
- 커뮤니티 및 베타테스터 확보
- Day 61-75: 기존 Patreon 창작자 유치 → 베타테스터 역할 부여
- Day 86-95: 이메일 기반 참여 유도 시스템 구축 (피드백 요청, 지원 요청 채널 제공)
- 장기 전략
- Day 96-100: 창작자 컨퍼런스 참가 계획 수립 (예: 2024년 주요 이벤트)
결론
- GitHub 리포지토리 (patroninc/patron)를 통해 개발 과정 공개 → 오픈소스 커뮤니티 참여 기회 제공
- Credit 모델과 자동화된 콘텐츠 추적 시스템은 콘텐츠 창작자 및 사용자 모두에게 더 유연한 수익화 및 경험 제공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