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픈AI, 챗GPT 국내 데이터 저장 지원으로 한국 기업 활용성 높아짐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오픈AI, 챗GPT 데이터 '국내 저장' 지원…韓 기업 활용성 높인다

분야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대상자

  • 국내 기업 및 개발자: 데이터 보안 및 법적 규제 준수 요구가 높은 산업
  • 난이도: 중급~고급 수준 (보안 프레임워크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*1. 데이터 레지던시 기능 도입**

- AWS API 고객 및 엔터프라이즈/에듀 사용자 대상으로 국가별 데이터 저장소 지정 기능 추가

- 지원 국가: 한국, 미국, 유럽, 일본 등 4개 지역 (2023년 8월 기준)

- 저장 데이터 범위: 대화 기록, 프롬프트, 업로드 파일, 커스텀 GPT 사용 이력 등 포함

  • *2.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기준**

- AES-256 암호화 적용 (데이터 저장 시)

- TLS 1.2 이상 전송 보안 프로토콜 사용

- GDPR, CCPA, SOC 2 Type 2 등 주요 규제 준수

- 사용자 동의 없이 데이터 학습 불가 정책 강화

  • *3. 데이터 처리 부속합의서(DPA) 제공**

- 법적 책임 명시: 고객과의 데이터 처리 역할 구분

- 국내외 기업 대응을 위한 유연한 보호 체계 설계

세부 섹션 요약

**1. 데이터 레지던시 기능 도입**

- 워크스페이스 생성 시 국가 선택: 새 프로젝트 설정 시 저장소 위치 명시

- API 고객 대상: 대시보드에서 저장 위치 직접 설정 가능

- 자동화된 저장: 사용자 프롬프트 및 업로드 파일 포함한 데이터 통합 저장

**2.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기준**

- 암호화 표준: AES-256(256비트) 적용 (데이터 저장 및 전송)

- 네트워크 보안: TLS 1.2 이상 프로토콜 사용

- 모델 학습 제한: 사용자 동의 없이 데이터 활용 금지

- 규제 준수: GDPR, CCPA, CSA STAR, SOC 2 Type 2 등 4개 기준 통합

**3. 데이터 처리 부속합의서(DPA) 제공**

- 법적 책임 명시: 데이터 처리에 대한 고객-오픈AI 간 역할 분담 정의

- 국내외 기업 대응: 법적·기술적 요구사항에 맞춘 유연한 프레임워크 제공

결론

오픈AI의 데이터 레지던시 기능은 한국 기업의 데이터 보안 및 법적 규제 준수 요구를 충족시키는 핵심 솔루션으로, GDPR, CCPA 등 글로벌 규제를 통합한 보호 체계를 제공함으로써 국내외 기업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