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 챗GPT 많이 쓰는 나라…오픈AI, 한국 법인 설립
카테고리
트렌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
대상자
- 정책 입안자, 기업, 개발자, 연구자
- 난이도: 중간 (AI 산업 동향 및 글로벌 기업 전략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오픈AI, 한국 진출 공식화 → 세계 상위 10개국 중 챗GPT 사용자 수 2위
- 주요 파트너사: 카카오, 크래프톤, KDB, SKT 등 국내 기업과 협업 강화
- 목표: ‘한국형 AI’ 개발 촉진 및 AI 기술의 책임 있는 확산
섹션별 세부 요약
1. 오픈AI 한국 진출 공식화
- 2023년 26일: 한국 법인 설립 및 서울 사무소 개설 발표
- 인력 채용: 이미 시작 중이며, 사무소 위치는 확정되지 않음
- 시장 평가: 한국, 챗GPT 사용자 수 기준 세계 10위권, API 사용 개발자 수도 세계 상위 10개국 중
2. 주요 파트너사 및 협업 전략
- 주요 파트너: 카카오, 크래프톤, KDB, SKT 등
- 협업 방향: 정책 입안자, 기업, 연구자와 긴밀한 협력 강화
- 추가 목표: AI 기반 혜택의 공정한 분배 및 책임 있는 기술 활용 지원
3. 정책 협의 및 아시아 순회 일정
- 제이슨 권 CSO: 국회 양당 관계자와 면담 진행 (민주당, 국민의힘)
- 주요 논의 주제: 아시아 지역 AI 인프라 구축 및 오픈AI 소프트웨어 활용 방안
- 전략적 의도: 글로벌 AI 생태계 확장 및 한국 시장의 중심적 역할 강조
결론
- 실무 적용 팁: 국내 기업과의 협업 강화 및 정책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형 AI 개발 속도 가속화가 필요하며, AI 기술의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규제 및 윤리 프레임워크 마련이 중요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