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OpenAI가 공개한 프롬프트 작성 필수 팁 4가지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AI

대상자

AI를 활용한 작업 효율성 향상을 원하는 개발자, 마케터, 디자이너 및 비즈니스 전략가.

핵심 요약

  • 프롬프트 작성 시 배경(Context)을 명확히 설명해야 AI가 작업 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.
  • 기댓값(Expectation)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면 AI의 응답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다.
  • 역할(Role Assignment)을 명시하면 AI가 특정 전문가처럼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.
  • 결과물 형식(Format)을 구체화하면 AI의 출력 구조를 정확히 지정할 수 있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배경 설명(Context)

  • AI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맥락을 자동으로 추론하지 않으므로, 작업 목적, 시기, 범위, 기대 효과 등을 명시해야 한다.
  • 예시: "이틀 뒤 인체 해부학 시험이 있어. 순환계와 호흡계에 대해 객관식 문제 10개로 퀴즈를 내줄 수 있어?"
  • 배경 설명 없이는 AI가 불필요한 확인 질문을 반복하게 되며, 작업 효율성이 떨어진다.

2. 기댓값 명시(Expectation)

  • AI에게 출력 형식, 수량, 내용 범위 등을 구체적으로 지시해야 한다.
  • 예시: "10개의 객관식 문제로 답변해 주세요."
  • 기댓값 명시를 통해 AI는 고퀄리티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.

3. 역할 부여(Role Assignment)

  • AI에게 전문가 역할을 명시하면, 해당 분야의 전문가처럼 사고방식과 표현을 조정한다.
  • 예시: "금융학 교수로 역할을 하세요. 복리이자를 3단계로 설명해 주세요."
  • 역할 부여는 AI의 응답 품질과 적합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킨다.

4. 결과물 형식 구체화(Format)

  • 표, 글머리표, 단계별 설명, 블로그 스타일, 보고서 형식 등 출력 형식을 명시하면 AI의 응답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.
  • 예시: "광합성을 3단계로 설명한 후, 글머리표로 요약해 주세요."
  • 출력 형식 명시는 정보 정리 효율성을 극대화한다.

결론

  • 프롬프트는 단순한 요청이 아니라, AI와의 협업을 위한 설계도로 활용해야 한다.
  • 배경, 기댓값, 역할, 형식의 4가지 원칙을 적용하면 AI는 기계에서 동료로, 검색 도구에서 전문가로 진화한다.
  • OpenAI의 공식 가이드를 참고해, 프롬프트 작성 습관을 개선하여 AI 활용 효율성을 높이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