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My First Rosetta Stone: 구조화된 인공지능 시스템 OrKa의 인지 전략**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
대상자
AI 시스템 설계자, 데브옵스 엔지니어, 소프트웨어 개발자
(중급 이상의 기술 이해도 기반)
핵심 요약
OrKa
는 구조화된 메모리와 검증 상태를 통해 결정적 라우팅을 실현MemoryReader
→ValidationAgent
→MemoryWriter
의 프로세스로 논리적 추론을 기반으로 상태를 저장ClassifierRouter
는 유사한 데이터 기반 구조적 추론(structured deduction)으로 중복 처리를 방지
섹션별 세부 요약
1. **9의 입력 처리: 메모리 기반 검증 프로세스**
BinaryClassifier
가9 > 5
조건 평가 →true
로 검증MemoryWriter
가 JSON 형식의 구조화된 사실 저장:
{"number":"9","result":"true","condition":"greater_than_5","validation_status":"validated"}
2. **19의 입력 처리: 검증 실패 시 대응 전략**
- LLM이 JSON 형식을 정확히 생성하지 못함 →
validation_status: false
로 저장 - 시스템은 "실패 시도 기록"을 유지하며, 이후 로직에 영향을 미침
- "이유 인식 메모리(reason-aware memory) 기능 구현
3. **91의 입력 처리: 구조적 추론과 중복 처리 방지**
MemoryReader
가19
와 유사도 0.53의 데이터를 조회19 > 5
의 검증 상태를 기반으로91 > 5
의 유추ClassifierRouter
가 중복된 재처리 없이 직접 답변 생성
결론
- *OrKa는 구조화된 인지 계층**(cognitive hierarchies)을 통해 LLM의 기능을 확장함.
→ MemoryWriter
와 ClassifierRouter
의 설계 원칙을 참고하여 시스템 내 논리 재사용 가능
→ orka_trace_20250624_*.json
파일을 통해 실제 트레이스 확인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