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밍의 예술 - 제6장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초보 개발자 및 프로그래밍 역사에 관심 있는 사람들
- 실용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언어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원하는 사람들
-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협업의 가치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
핵심 요약
- PHP는 Rasmus Lerdorf가 개인적인 필요에서 비롯된 CGI 스크립트로 시작되어, 이후 70% 이상의 웹을 지원하는 언어로 성장
- "PHP/FI"는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programming for the people 철학을 실현
- 오픈소스로의 전환은 커뮤니티 기반 협업을 이끌어내며, PHP 3 출시로 확장성과 기능성 향상
- PHP는 folk art처럼 실용적이고 직관적인 언어로, "Just write what you want to do"라는 철학을 반영
섹션별 세부 요약
1. PHP의 탄생과 초기 목적
- 1994년 Rasmus Lerdorf가 자신의 포트폴리오 관리 목적으로 C로 작성한 CGI 스크립트
- "Personal Home Page Tools"라는 이름으로, 초기에는 개인적인 사용을 위한 도구로 개발
- PHP는 수학적 완벽성보다 실용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설계 철학을 가짐
2. PHP의 진화와 오픈소스 전환
- 1995년 PHP/FI로 진화하며, 데이터베이스와 프로토콜 지원 기능 추가
- 1998년 PHP 3 출시로 오픈소스화, 커뮤니티 기반 개발로 확장
- Rasmus Lerdorf는 언어 설계자로 간주되지 않으며, "도구를 만들기 위해 프로그래밍을 한다"는 철학을 강조
3. PHP의 영향력과 현대적 활용
- WordPress, Drupal, Joomla 등 CMS 플랫폼의 핵심 기술로 사용
- Facebook, Wikipedia 등 대규모 시스템의 기반 기술로 자리잡음
- PHP는 "digital folk art"로, 실용적이고 직관적인 특성으로 수많은 개발자에게 영감 제공
결론
- PHP는 실용성과 접근성을 중시하는 설계 철학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언어로 성장
-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협업은 PHP의 발전을 이끌었으며, "programming as an art"의 모범 사례로 작용
- 다른 언어와의 차별점은 "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바로 쓰면 된다"는 직관적인 접근 방식